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에 관한 책이다. 단순하게 운동하세요가 아니라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이런 이유때문에 이렇게 운동하세요. 인체의 불균형은 통증을 유발하고, 변형을 초래한다. 지금 당장 불편하지 않더라 하더라도 장기적인 불균형은 연속적인 구조적 변형을 초래하여 심각한 척추상태, 무릎관절염을 유발한다. 첫째, 진단적 관점. 1. 추선검사(ant, post, lateral view) - 추선을 내리고 사진을 촬영하여 자주 관찰하여 경험을 늘림. 2. 근육의 길이검사와 스트레칭 - 구체적인 스트레칭을 직접 시행 3. 근력검사와 근력강화운동 - 구체적인 근력검사와 강화운동을 직접 시행 4. x-ray를 통한 뼈의 구조 - 인체균형을 보기위한 촬영 각도를 요구해야 함. 둘째, 치료적 관점. 1. 보호대(견갑대, 요부, 족부패드 등) - 현실적으로 족부클리닉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 다른 보호대는 약화된 근육을 잡아주기 위한 것이므로 근력강화로 대체 2. 긴장, 단축된 근육을 스트레칭, 심부마사지, tp치기, 부항, 슬랙킹 머신, 심부초음파치료기, 핫팩 - 근육길이검사와 더불어 스트레칭 방법 3. 약화, 신장된 근육을 강화운동 - 근력검사와 더불어 근력강화 방법 4. PNF치료법 응용 panic bird.......... 머리말 - 플로렌스 켄달, 헨리켄달은 자세에 대한 분석 및 근육검사기법과 개념을 정립한 선구자다. 플로렌스가 각고의 노력끝에 정립한 기법과 개념들은 고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그들은 그동안 쌓아온 지식을 습득하고 공유하기에 애쓰고 있다. 서문 - 근육의 기능과 신체역학, 기본적인 치료절차는 변하지 않는다. 근골격계 장애의 관점에서볼때, 치료의 기본목적은 적당한 운동범위, 올바른 정렬, 근육의 균형을 회복하고 유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근골격계질환의 예방, 의사로서 인간의 건강유지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근육불균형과 정렬의 이상, 부적절한 운동의 역효과에 대하여 충분히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 Robert W. Lovett과 Wilhelmina Wright와 같은 이들은 근육검사의 기초를 닦은 선구자들 - 인체역학 부문에서는 Joel E. Goldthwait가 선구자. 제 1장. 기준에 관해 언급, 근육검사 소개, 근육검사장비에 대한 논의, 세가지 신체검사에 대한 평가 제 2장. plane면과 axis축, 관절운동에 간략한 설명, 관절의 유형 및 하위유형사이의 관련성 제 3장. 근육길이 검사 및 스트레칭 운동. 제 4장. 자세에 관한 장으로 바람직한 자세, 불완전 자세, 자세와 관련된 환경적 인자, 운동과정 제시 제 5장. 과거 운동프로그램의 문제점과 척추측만증 제 6장. 몸통근육에 대한 장. 단순한 신근의 검사과정을 먼저 설명, 하복부 근력의 중요성. 제 7-8장. 사지의 근력검사. 등급설정, 등급기호 등 설명 제 9장. 얼굴과 눈, 목의 근육에 대한 평가와 음식, 호흡할때의 근육 설명 제 10-11장. 치료의 원칙과 동통성 및 불완전 자세의 치료에 대한 접근을 시도. 제 12장. 신경근육평가, 신경의 압박, 긴장, 충돌 등에 대해 설명. 제 1장. 기본원칙 - 왜 추선(plumb line)인가? 중력이라는 자연법칙에서 볼때, 추선은 역학적 도구인것이다. - 엄격한 의미에서 이상적인 신체정렬은 불가능하다.. 자세와 통증 - 올바른 자세를 취하는 것은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올바른 습관이다. 많은 성인들이 잘못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은 고도의 전문화된 활동내지는 반복적인 행동패턴과 관련이 있다. - 올바른 인체역학의 개념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정렬(alignment)과 근육의 균형(balance)이다. 검사법과 치료법들은 자세를 잡거나 운동을 할때 올바른 인체역학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약화된 근육을 강화시키고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기 위한 운동치료의 주요목표는 근육의 균형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 올바른 인체역학을 위해서는 관절을 이용한 적절한 운동과 유연성이 필요하며, 과도한 운동을 피해야 한다. 관절의 운동에는 기본법칙이 있다. "유연성이 클수록 안정성은 줄어들며, 안정성이 클수록 유연성이 줄어든다" 1947년 미국정형외과 협회가 제시한 "자세"에 대한 개념 - 자세란 흔히 신체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싱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올바른 자세란 근육과 골격이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이른 것으로, 그러한 상태에서는 어떤 자세로 일하거나 휴식을 취하는가와는 상관없이 외상이나 점진적인 신체장애로부터 신체 지지구조를 보호해준다. 그러한 상태에서만 근육은 가장 효율적으로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흉부와 복부의 기관들이 원활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가 조성된다. 잘못된 자세는 신체의 여러부분들 사이의 관계가 불완전하다는 의미로, 지지구조에 스트레스가 가해짐으로써 비효율적인 균형상태가 조성되며 지지기반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 잘못된 인체역학과 관련된 증세는 너무도 많다. 가장 흔한 것이 요통이고, 목, 어깨, 팔, 무릎, 발 등에 통증을 유발한다. - 자세가 불완전해보이더라도 몸이 유연하면 자세를 쉽게 바꿀수도 있다. 반면에 자세는 좋아보이더라도 근육이 긴장되거나 탄력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유연성에 제약이 가해지므로 위치를 쉽게 바꿀 수 없는 경우도 있다. - 잘못된 자세로 인한 통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미한 스트레스라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누적되면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는 것과 같은 급성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 잘못된 자세로 인한 통증은 급성증상만을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만성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급성증세가 가라앉은 이후에 근육정렬과 근육균형의 근본장애를 알아보기 위한 테스트를 할 수 있으며 특정 치료방법을 시행할 수 있다. 급성통증과 만성통증의 치료방밥은 커다란 차이가있다. - 통증을 줄이기 위한 고정(immobilization)은 종종 필요하기도 하지만 환자가 급성상태에서 회복상태로 옮아가기위해서는 고정상태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움직임을 회복할 수 있어야 한다. 도수근력검사(manual muscle testing) - 근육검사기술은 손상부위에 대한 치료, 통증과 불편함을 피할 수 있는 자세유지, 근육을 검사하는데 필요한 세심함, 그리고 근력측정시 피검자가 최적의 반응을 보일 수 있도록 압력과 저항을 가하는 능력 등으로 이루어진다. - 근육검사는 정확한 지식과 기술, 부주의나 실수를 허용하지 않는 검사자의 경험과 모두가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검사과정에 대한 확신을 필요로 하는 과정이다. - 근육검사는 신체검사(physical exam)에서 없어서는 안될 부분이다. 근육검사를 통해 다른 과정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특정진단, 예후, 신경과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 많은 신경근육 관련질병들에 의해 근육의 약화는 초래된다. 어떤 경우에는 특별한 유형없이 간헐적인 약화증세를 보이기도 하고, 대칭적약화, 비대칭적 약화가 있기도 하고, 말초신경의 장애 level에 한정되기도하고 전신적으로 보이기도 하고 등등.. - 세심한 검사와 검사결과의 정확한 기록을 통해서만 특별한 발견내용을 밝힐 수 있으며 진단을 내리는데 도움이 된다. - 근골격계의 상태를 통해 근육의 불균형을 발견할 수도 있다. 일부 유형에서는 어떤 손을 사용하느냐와 연관이 있는가하면, 잘못된 자세가 습관이 된 경우도 있다. 근육불균형은 업무나 여가활동시 대립근육(opposing muscle)을 충분히 풀어주지 않은 상태에서 근육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 근육불균형은 정렬상태를 변화시켜 관절, 인대, 근육에 불필요한 스트레스와 부담을 준다. 근육검사는 불균형의 정도를 측정할 수있는 방법이다. - 운동치료는 단축된 근육을 신장시키거나 약화된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처방을 내리기 전에 반드시 근육의 길이와 근력을 측정해야 한다. - 근력검사의 목적은 운동시 작용하는 근육, 근육군의 역할과 안정성, 지지력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근육이 약화되고 강화되는데는 여러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신경과의 관련성, 불용성 위축, 신장성 약화(stretch weakness), 통증, 피로 등이 근육의 약화를 일으킨다. 근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질병으로부터 회복, 외상과 수술후 신경에 가해지는 충격완화, 손상되지 않은 근섬유의 비대, 운동을 통한 근육발달, 또는 좌상의 완화 후 근력회복 등이 요구된다. - 근육의 약화는그 근본원인에 따라 적절히 치료해야 한다. 사용부족으로 인한 경우에는 근력운동으로, 사용과다에 의한 경우에는 휴식으로, 긴장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경우에는 운동에 의해 또 다른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으므로 그 전에 긴장과 스트레스를 해결해야 한다. - 근육검사는 검사절차와 근력, 길이의 평가라는 두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근육기능에 대해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근육의 길이와 근력은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로 알수있기 때문에 관절운동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또한 근육의 주동작용과 길항작용을 이해하고 고착(fixation)과 대체 움직임(substitution)에 대해서도 숙지하여야 한다. 또한 근육과 건을 손으로 감지하고, 정상상태와 위축상태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하며, 위치나 움직임의 이상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 근육과 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검사를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따. 그러나 약화증세가 있을때 발생하는 대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험이 필요하며, 근육의 길이와 근력을 검사하고 근육의 강도를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서는 연습이 필요하다. - 이 책에서는 근육검사, 자세검사, 객관적 사실에 대한 평가, 근골격계 평가, 치료의 중요성 등이 강조되어 있다. 객관적 타당성의 필요 - 객관적 측정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우리의 손은 가장 예민한 도구이며,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미세한 기구이다. 검사자는 한손으로 검사부위주변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다음, 다른 손을 이용하여 통증을 느끼지 않는 운동범위를 측정하고, 정확한 검사를 받을 수있도록 검사위치를 정하고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강도를 측정한다. 신체검사(physical fitness test) - 신체검사는 윗몸일으키기(knee-bent sit-up), 엎드려 팔굽혀펴기(push-up), 앉은 자세에서 몸통앞으로 구부리기(sit and reach)등이 사용되고 있다. 윗몸일으키기 - 윗몸일으키기는 공식적으로 복부근육의 근력과 근지구력의 측정을 목표로 하지만 발을 고정하고 윗몸일으키기를 하면 고관절 굴근의 근력과 지구력을 측정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 특히 몸통을 구부려 윗몸일으키기를 하면 복근이 수축됨으로써 복근운동이 되지만, 복근의 지구력이 충분하지 못하면 도중에 등이 점차로 펴지면서 고관절 굴근의 근력을 사용하게 된다. - 복근의 근력을 정확히 측정하고 복근을 강화시키기 위한 윗몸일으키기는 1) 고관절 굴곡이 일어나기 전에 몸통을 구부리기 2) 몸통을 구부린 상태에서 고관절의 굴곡작용으로 몸을 일으키기... 푸쉬업 - 전거근(serratus anterior)이 약할 경우에 푸쉬업은 견갑거근에 부담을 주고, 견갑골의 외전이 안된다. 앉은자세에서 몸통앞으로 구부리기 - 이 검사는 요추와 슬건근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인데....... 제 2장. 관절의 운동(joint motions) 관절의 종류 - 세가지가 있는데, 섬유질로 이루어져 운동이 불가능한 관절, 연골관절로 이루어져 가벼운 운동이 가능한 관절, 활액막으로 이루어져 움직임이 자유로운 관절이 그것이다. - 두개골의 시상봉합, 천장관절 및 치골결합이 그것이고, 대부분의 관절은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한 활액막으로 연결되어 있다. 해부학적 자세, 축, 면(anatomical position, axis, planes) - 축은 시상축(sagittal axis), 관상축(coronal axis), 종축(longitudinal axis) 등이 있다. - 면은 시상면, 관상면, 횡단면(transverse planes) 등이 있다. -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 - 중력선(line of gravity) - 굴곡과 신전 - 과신전 - 외전(abduction) : 손가락, 발가락을 제외한 팔다리가 신체의 중앙시상면에서 멀어지는 운동 - 내전(adduction) : 중앙시상면을 향해 접근하는 운동 - 측면굴곡 - 활주(gliding) : 관절표면이 평탄하거나 약간의 곡선을 이룰때, 그리고 하나의 관절이 다른 관절을 활주할때 일어나는 운동. - 회선운동(circumduction) - 회전(rotation) : 견갑골과 쇄골을 제외한 모든 신체부분이 횡단면의 종축을 중심으로 운동하는 것. - 경사(tilt) 견갑대(shoulder girdle) - 쇄골과 견갑골의 구성으로, 7가지 기본운동이 있다. 16페이지 견관절(shoulder joint) - 굴곡과 신전은 관상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운동 - 외전과 내전은 시상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운동 - 수평외전, 수평내전은 종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운동 - 내측회전과 외측회전은 종축을 중심으로 상완골에 의해서 형성되는 운동 - 회선운동 주관절 - 굴곡과 신전은 관상축을 중심으로 진행 요척골관절 - 회내와 회외는 전완의 회전운동 손목관절 - 굴곡과 신전은 관상축을 중심으로 진행. - 외전(요골편위)와 내전(척골편위) - 회선운동 골반(pelvis) - 골반의 중립자세는 전상장골극과 치골결합이 동일한 수직면에 위치한 경우. - 전방경사, 후방경사와 측면경사가 있다. - 측면골반경사는 요추의 측면굴곡, 올라간 측 고관절의 내전, 내려간 측 고관절의 외전 고관절 - 굴곡과 신전은 관상축을 중심으로 진행. - 영점으로부터 고관절 굴곡의 범위는 125도, 신전은 약 10도 - 고관절 굴곡운동시 슬건근(hamstring)의 제약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무릎을 구부려야하고, 고관절 신전운동시 대퇴직근의 제약을 피하기 위해서는 무릎을 펴야한다. - 고관절 굴곡과 신전은 두가지 운동이 있다. 골반을 향한 대퇴운동과 대퇴를 향한 골반운동. - 외전과 내전은 시상축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운동으로 외전범위는 45도, 내점범위는 10도 - 외측회전과 내측회전은 종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슬관절 - 굴곡과 신전은 관상축을 중심으로 신전은 곧게 펴진 대퇴와 다리의 전면을 향하는 운동(0도) - 굴곡은 140도 - 과신전은 신전의 영점자세를 초과하는 비정상적인 운동 - 외측회전과 내측회전은 종축을 중심 발목관절 - 배측굴곡(dorsiflexion)과 족저굴곡(plantar flexion) 거골하관절과 횡족근관절 - 내반(inversion)과 외반(eversion) 15페이지 그림 척추의 운동(vertebral column) - 경추전만, 흉추후만, 요추전만 - 굴곡, 신전, 측면굴곡, 회전 등 제 3장. 근육의 길이검사와 신장운동 근육의 전체구조 - 근육의 전체구조가 근육의 작용을 결정지으며 스트레칭에 대한 근육의 반응방식에 영향을 준다. 근육의 형태는 크게 방추상근(fusiform or spindle)과 우상근(pennate), 부채꼴형태의 근육으로 구별된다. - 방추상근의 경우, 섬유질은 기본적으로 기시와 종지까지 평행상태를 유비하며, 섬유속은 편평한 건안의 근육 양쪽 끝지점에서 차단되어 있다. 우상근의 경우는 섬유질들이 두꺼운 근육층을 통과하거나 또는 한쪽 근육을 따라 뻗어 있는 건이나 건다발 안으로 비스듬히 삽입되어 있다. 근육의 길이검사 - 근육길이검사는 크게 세가지다. 정상, 단축, 이완 - 정상길이를 초과한 근육은 강도가 약하며 대립되는 근육이 단축된다. 단축된 근육은 강하며, 대립되는 근육은 신장되어 있다. - 근육길이검사는 기시와 정지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운동을 통해 움직임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근육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시행된다. 관절의 운동범위와 근육의 길이 관절의 운동범위와 근육길이의 상관관계 근육의 역할 - 운동이외에 골격을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긴장된 근육때문에 운동범위가 제한되면, 근육이완을 증진시키고 근육의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를 실시한다. 스트레칭은 중요한 절차이다. - 정상적인 운동범위를 초과한 경우 과도한 스트레칭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통증과 상관없이 불안정한 경우 문제가 되는 구조를 단단히 죄는 보조기구의 사용을 신중히 검토해야.. - 다리와 등 근육의 길이측정은 고관절 굴근, 슬건근, 등,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 순으로 이루어져야 .. - 고관절 굴근이 단축되면 정확한 슬건근의 길이측정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슬건근을 측정하기 전에 고관절 굴근을 먼저 측정해야.. 슬건근 측정에는 하지 직거상검사와 앉은자세에서 몸통구부리기가 있다. 관절운동 측정 - 각도기(protractor)와 캘리퍼(caliper)로 측정을 시작 - 고관절 내전 검사. 10도 32페이지 - 고관절 굴근(장요근, 대퇴직근, 대퇴근막장근, 봉공근)의 길이 검사. 토마스 검사 - 장요근은 단관절 근육으로 작용하고, 대퇴직근, 대퇴근막장근, 봉공근은 이중관절 근육으로 슬관절과 고관절을 거친다. 세근육 모두 고관절을 굴곡시키지만 대퇴직근과 대퇴근막장근은 무릎신전, 봉공근은 무릎을 굴곡시키는 작용을 한다. - 단관절과 이중관절 고관절 굴근의 단축. 토마스 검사 34페이지 - 무릎이 신전되고, 고관절이 15도정도 굴곡 - 무릎을 꿇은 자세에서는 대퇴직근과 대퇴근막장근이 신장되므로 서있을때 보이지 않던 골반전방경사, 요추전만이 보일 수 있다. 35페이지 그림 참조 - 고관절 굴근의 길이가 지나치게 긴 경우. 그림 35페이지 우측 대퇴근막장근 - 57페이지 오버테스트 슬건근 길이검사 - 슬건근은 세개의 이중관절 근육과 한개의 단관절 근육으로 이루어짐 - 단관절 슬건근(대퇴이두근)의 길이 검사는 고관절을 신전시킨다음 무릎을 신전시킨다. - 이중관절 슬건근 검사(반막양근, 반건양근)는 하지직거상검사와 다리를 펴고 앉은상태에서 몸통앞으로 구부리기로 한다. - 골반이 지나치게 후방경사되면 슬건근의 길이가 실제보다 길어보일 수 있다. 40페이지 - 반대로 골반이 전방경사되면 슬건근의 길이가 실제보다 짧아보이게 된다. 42페이지 후방근육 길이검사를 위한 몸통 앞으로 구부리기 - 몸통앞으고 구부리기는 슬건근과 등의 긴장과 이완으로 설명된다. - 단축된 슬건근을 보상하고도 남을 정도로 등이 지나치게 유연한 상태. 그림 47페이지 - 슬건근의 길이는 정상이고 등근육이 지나치게 이완된 상태. 상부 등근육 이완상태와 하부근육이완상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나이에 따라 유연성이 다르다. 척추의 굴곡과 신전 - 몸통 앞으로 구부리기와 뒤로 젖히기(49페이지)는 척추의 굴곡과 신전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운동들이다. 몸통의 굴곡운동 범위 - 골관절의 굴곡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등의 굴곡운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50페이지 그림 몸통의 신전운동범위 - 허리근육이 약한 경우는 거의 드물기 때문에 등의 신전범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엎드려 누운자세에서의 근력검사를 실시하면 된다. 50페이지 그림처럼하고 전상장골극이 들리지 않도록 신전.. - 견갑골의 불안정, 특히 전거근의 약화는 등의 신전검사를 방해한다. 이러한 증세를 보이는 환자는 푸쉬업을 해서는 안된다. 참고) - 척추의 신전은 복부근육의 길이와 척추운동범위에 따라 결정되고, 신체를 얼마나 뒤로 젖힐 수 있는가는 고관절 굴근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 척추의 굴곡, 신전, 측면굴곡을 정확하게 재는 데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몸통을 구부릴때 발생하는 고관절의 움직임을 배제해야 한다. 발목의 족저굴근 길이검사 단관절 족저굴근 - 가자미근 이중관절 족저굴근 - 비복근, 족저근 근육길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법 - 근육이 지나치게 긴 경우에는 스트레칭운동을 피하고, 늘어난 근육들을 늘어난 상태로 유지하는 자세도 피한다. 늘어난 근육은 대개 약하기 때문에 근육강화훈련이 필요하다. -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지나친 스트레칭만 피해도 근육은 강화될 수 있다. - 자세를 고치거나 교정운동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근육의 과도한 이완을 방지하는 보조대를 사용할 수 있다. - 근육이 단축됐거나 스트레칭이 필요한 경우에는 긴장된 근육만 늘려주며 신체의 다른 부위에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정확하게 실시해야 한다. 고관절 굴근의 스트레칭 - 바로 누운 상태에서 요추가 편평해지도록 한똑다리는 가슴으로 끌어당기고 나머지 다리는 편상태로 둔다. 고관절 굴근의 긴장이 심한 경우 요통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유는 장요근은 추체, 횡돌기, 요추간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나친 고관절 굴근의 스트레칭은 허리의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주의) 단관절 고관절이 구축되어 있는 경우 런지는 피한다. 슬건근 스트레칭 - 하지 직거상, 견고한 의자 뒤쪽에 누워 스트레칭, 등받이 없는 의자에서 스트레칭, 몸통앞으로 구부리기. 54페이지 허리 스트레칭 - 필요한 경우, 등 스트레칭 운동은 허리에 국한하여 실시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온열치료로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고 스트레칭을 실시한다. - 엎드려 누은자세에서 딱딱한 베개를 복부에 대고 발목에 담요를 댄다. - 바로 누운자세에서 무릎을 구부리고 허리가 땅바닥에 닿도록 한다. - 의자에서 - 누운자세에서 - 튼튼한 테이블 위에서 - 서서 또는 앉아서 하는 몸통 앞으로 구부리기는 다음 두가지 근육불균형이 있는 사람은 피한다. 1) 슬건근이 늘어나고 허리근육이 긴장된 사람 2) 심한 슬건근 단축과 함께 요추가 지나치게 굴곡된 사람 대퇴근막장근과 장경인대 오버검사 - 1935년 프랭크 오버가 처음으로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의 구축을 검사하는 방법인 오버검사를 발표 - 1937년 발표한 글에서 오버는 "대퇴골의 전면과 측면의 근막이 심하게 구축되면 요추가 전만되고 후측면이 구축되면 요추곡선이 편평해진다. 전자의 경우는 흔하고 후자의 경우는 드물다. 두경우 모두 요통이나 좌골신경통과 관련이 있다. 한쪽에서 구축이 발생할 경우 척추의 측면만곡이 발생할 수 있다"라고 주장.. 변형된 오버검사 - 변형된 오버검사는 슬관절 내측의 좌상을 줄이고, 긴장된 대퇴직근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으며, 대퇴근막장근과 같이 복합작용을 하는 경우의 근육길이검사를 할때 모든 움직임의 반대방향으로 스트레칭을 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 검사를 잘못하면 고관절이 내회전되고 굴곡되면서 다리가 내려올 수 있다. - 방법은 58페이지 참조 - 골반이 고정되었을때 다리가 낙하되지 않으면 대퇴근막장근과 장경인대가 긴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대퇴근막장근 스트레칭 - 대퇴근막장근은 고관절을 외전시키고 굴곡시키며 내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 근육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그 근육이 작용하는 모든 반대방향으로 스트레칭을 할 필요는 없다. 무엇보다도 스트레칭이 필요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스트레칭은 고관절이 내전되도록 다리를 엇갈리게 선다. 이 상태에서 몸을 좌우로 흔들게 되면 대퇴근막장근보다는 중둔근 스트레칭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천와상완(glonohumeral)과 견갑근의 길이검사 - 어깨를 완전 굴곡, 외전시키려면 대흉근, 소흉근, 광배근, 대원근, 견갑하근의 길이가 충분해야 한다. - 완전한 외회전을 위해서는 내측회전근 즉 대흉근, 광배근, 대원근, 견갑하근의 길이가 정상이어야 한다. - 완전한 내회전을 위해서는 외측회전근 즉 대원근, 극하근, 전삼각근의 길이가 정상이어야 한다. 1) 대흉근 길이검사 - 62페이지 2) 소흉근 단축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 63페이지 - 수축된 소흉근은 견갑골을 전방으로 당겨 견갑대가 상하로 움직인다. 견갑대 배열에 변화가 생기면 정상범위이더라도 천와상완 관절의 굴곡이 제한을 받게 되어 팔이 테이블에 닿지 않는다. - 소흉근의 긴장은 많은 경우에 있어 팔에 통증을 느끼는 주요요인이다. 소흉근은 오구돌기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근육의 긴장으로 인하여 coracoid가 하강되므로 오구골과 흉곽사이에 놓여있는 액와혈관, 완신경총에 압박과 충돌이 가해진다. 3) 대원근, 광배근, 능형근 어깨 회전근의 길이검사 1) 내측회전근의 길이검사 2) 외측회전근의 길이검사 - 64, 65페이지 경추의 신전과 굴곡 - 66페이지 - 67페이지. 혼자서 할 수 있는 목 근육의 스트레칭 운동 어깨와 견갑대의 스트레칭 운동 1) 보조자의 도움을 받는 대원근과 광배근의 스트레칭 2) 소흉근 스트레칭 3) 보조자의 도움을 받는 어깨 회전근 스트레칭 4) 어깨 내전근 스트레칭 - 68페이지 제 4장. 자세 : 정렬과 근육균형 근육균형(대립근육) - 몸통과 하지의 전후방, 측면, 회전방향으로의 움직임과 자세를 잡는 과정에서 서로 반대죄는 작용을 하거나 조화를 이루어 작용하는 근육들에 대한 설명... 발 전후방 - 배측굴곡과 족저굴근의 대립 측면과 회전 - 비골근과 경골근의 대립 무릎 전후방 - 슬건근, 비복근, 슬와근과 사두근의 대립 고관절 전후방 - 장요근, 대퇴직근, 대퇴근막장근, 봉공근과 대둔근, 슬건근의 대립 측면 - 외전근과 내전근의 대립 - 오른쪽 외전근과 왼쪽 내전근, 왼쪽 외전근과 오른쪽 내전근의 대립 회전 - 내측 회전근과 외측회전근의 대립 몸통 전후방 - 허리근육이 전방복근과 대립 측면 - 측면 몸통근육들은 서로대립 회전 -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근육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근육과 대립 골반 1) 척추기립근, 요방형근, 기타 후방근육들은 골반의 후면상부에 연결되어 있어 뒤쪽에서 상방으로 당기는 역할 2) 전방복부근육들, 특히 장골릉 전면에 비스듬하게 연결되어 있는 외복사근과 치골결합에 연결되어 있는 복직근은 앞쪽에서 상방으로 당기는 역할 3) 대둔근과 슬건근은 후면 장골, 천골, 좌골에 붙어 있어서 뒤쪽에서 하방으로 당기는 역할 4) 대퇴직근, 대퇴근막장근, 장골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 부착된 봉공근, 요추와 장골의 안쪽면에 부착된 장요근 등의 고관절 굴근은 앞쪽에서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역할 골반의 전후방 경사 - 허리근육은 고관절 굴근의 단축을 유발하여 골반을 전방경사로 기울어지게 한다. 이때 복근은 반대로 골반의 전방경사를 막으며, 슬건근과 대둔근은 뒤쪽에서 하방으로 당겨 전방경사되려는 골반을 평형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골반의 측면경사 - 다리 외전근(주로 소둔근과 중둔근)은 골반의 외측면에서 골반을 하방으로 끌어 당기는 역할 - 측면몸통근육은 장골릉 측면에 부착되어 골반을 측면으로 들어 올리는 역할 - 한쪽 고관절의 외전근과 다른 쪽의 측면 몸통근육이 작용하여 골반을 측면으로 기울어지게 하는데, 예를들면 오른쪽 외전근은 골반의 오른쪽을 끌어내리고, 왼쪽 측면 몸통근육은 골반의 왼쪽을 끌어올린다. 원칙 # 잘못된 정렬(faulty alignment)은 뼈, 관절, 인대, 근육에 불필요한 스트레스와 좌상을 유발한다. # 관절의 위치를 분석하면 어떤 근육이 늘어나 있고, 어떤 근육이 단축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 자세가 습관적이라면 정렬과 근육검사 결과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 근육의 약화는 그 근육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서 멀어지도록 한다. # 근육의 단축은 근육이 서로 더 가까이 붙어 있게 만든다. # 신장성 약화(stretch weakness)는 단관절 근육이 늘어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다. # 적응성 단축은 근육의 단축 상태를 유발한다. 표준자세 - 표준자세에서 척추는 정상적인 곡선을 이루고 있고, 하반신의 골격은 체중을 유지할 수 있는 이상적인 정렬상태를 하고 있다. - 신체의 시상중심면과 관상중심면이 교차함에 따라 중력선(gravity line)과 유사한 한 선이 형성된다. 신체는 이 선내에서 가상의 평형상태에 놓이게 된다. 평형상태란 체중이 골고루 분산됨을 의미하며, 각 관절이 안정된 상태에 놓이게 됨을 말한다. - 기립자세는 앞, 뒤, 오른쪽, 왼쪽 등 4가지 관점에서 피검사자의 복합정렬상태를 검토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수많은 관절과 신체부위의 위치와 정렬이 연관되어 있다. 여러가지 면에서 완전한 표준자세와 일치하는 사람은 있을 수 없다. - 추선검사는 검사를 받는 사람의 기준선이 표준자세에서와 같은 정렬을 보이고 있는가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검사를 받기 위해 피검사자는 추선 가까이에 선다. 뒤쪽에서 보았을때, 피검사자는 선을 중시으로 하여 두발을 양쪽으로 똑같이 벌리고 선다. 측면에서 보았을때 측면 복사뼈 바로 앞의 점이 추선과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추선에 의한 이상적인 정렬의 표현 1. 외측 복사뼈의 약간 앞에 놓인다. 2. 무릎관절의 축보다 약간 앞에 놓인다. 3. 고관절의 축보다 약간 뒤에 놓인다. 4. 요추의 추체를 지난다. 5. 견관절을 지난다. 6. 대부분의 경추추체를 지난다. 7. 외이도를 통과한다. 8. 관상봉합 정점보다 약간 뒤쪽에 놓인다. 골반과 요부 - 이 책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중립자세는 양측 전상장골극이 수평이고, 전상장골극과 치골결합이 동일한 수직면 내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고관절과 슬관절 - 기준선은 고관절 중심에서 약간 뒤쪽, 슬관절 축의 약간 앞쪽 발목 - 기준선은 외측 복사뼈의 약간 앞쪽 - 무릎이 신전된 상태에서 발목의 정상적인 배측굴곡각도는 약 10도. 발 - 정리 하세요 머리와 목 - 이상적인 정렬상태의 머리와 목을 보면 머리의 균형이 잡힌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근육작용만으로도 유지할 수 있다. 측면에서 보면 기준선이 귓불과 일치하고 목은 전방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룬다. - 머리와 목의 좋은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등 상부의 정렬상태가 좋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머리와 목의 자세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 머리를 전방으로 내민 자세는 견추신근이 짧아지고 강해진 상태로 이 근육이 적응성 단축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전방의 경추굴근이 늘어나면 근력검사시 약화 증세를 발견할 수 있다. 흉추 - 머리와 목이 흉추의 위치에 따라 영향을 받듯이, 흉추는 골반과 요추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 - 골반과 요추가 이상적인 정렬상태일 때 흉추는 이상적인 자세를 이룬다. 견관절과 견갑대 - 이상적인 정렬에서 기준선의 측면은 관절의 중앙부위를 지나간다. 팔과 견관절의 위치는 견갑골의 위체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 관절의 정렬이 잘못되면 부상, 만성통증에 시달린다. 자세정렬의 네가지 유형 1. 이상적인 정렬 2. 척추후만증(kyphosis)-척추전만증(lordosis) 자세 3. 편평등(flat-back)자세 4. 굽은등(sway-back)자세 - 76페이지 잘못된 추 정렬(77페이지) 1) 추선에 비해 신체가 전방으로 편위된 상태 - 주로 키크고 마른 사람에게서 나타나는데, 이런 경우 체중은 발 앞쪽에 실리게 된다. 습관적으로 이러한 자세를 취하는 사람들은 엄지발가락에 가골이 형성될 수 있다. - 전체적인 자세교정과 족궁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장비가 피룡하다. 발목관절이 약간 배측굴곡되는 것은 다리가 앞쪽으로 기울고 무릎이 약간 굴곡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 몸통후방 근육과 하지는 계속해서 수축되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근육들을 효과적으로 이완시키기 위해서는 자세정렬을 교정해야 하다. 2) 몸통상부와 머리가 후방으로 심하게 편위된 상태 - 뒤로 젖혀진 상체로 인한 균형을 잡기 위해 무릎과 골반이 전방으로 편위된다. 3) 발목부터 경추까지 신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모습 - 피검자의 왼쪽과 오른쪽의 부분이 추선을 기준으로 편위된 정도가 다르다. 아이들 자세 - 그림 78, 79페이지 - 18개월된 아이에게서 어느정도 외반슬이 나타날 수 있다. 특별한 치료없이 6세가 되면 올바른 정렬을 보이기도 한다. 척추전만 자세 - 80페이지 이수(handedness 잘쓰는 손)가 자세에 미치는 영향 - 오른 손을 사용하는 사람은 오른쪽 어깨가 처져있고, 오른쪽 골반이 왼쪽보다 올라가는 형태로의 변형이 잘 이루어진다. - 대부분의 경우 처진 어깨보다는 높은 고관절이 더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측면골반경사를 교정하면 어깨도 교정이 되는데, 그 반대의 경우는 반드시 그렇다고 할 수 없다. - 81페이지 그림 참조 - 여러가지 이유로 왼손잡이의 어깨, 골반은 변형이 심각하지 않다. 잘못된 자세(측면과 후면) - 82페이지 그림 - 어깨를 뒤로 젖혀라라는 훈계를 따른 결과의 척추자세. 척추후만증-척추전만증 자세 - 머리 전방 편위, 경추 과신전, 견갑골 외전(round shoulder), 척추과후만, 요추과전만, 골반 전방경사, 고관절 굴곡, 슬관절 과신전, 발목족저굴곡. - 목의 신전근, 고관절 굴근, 등하부근육 단축의 가능성이 있다. - 목 굴근, 흉추기립근, 슨건근은 약간 늘어난 상태이고 약화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 - 복직근이 반드시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굽은등 자세(sway-back posture) - 머리 전방편위, 경추 약간 과신전, 흉추 증가된 굴곡(광범위한 척추후만), 요추하부의 굴곡이나 편평등, 골반 후방경사, 고관절 전방변위와 함게 과신전, 슬관절 과신전, 발목 중립 - 발목이 중립인 이유는 고관절의 전방변위와 슬관절의 과신전이 상쇄 - 고관절굴근, 외복사근, 등상부 신근, 목굴근은 신장성 약화가 나타난다. - 슬건근, 내복사근의 상부섬유, 등 허리근육은 강화(단축은 아니다) 군대식자세(military-type posture) - 머리 중립위치, 경추정상곡선, 약간전방위치, 흉추 정상곡선, 약간 후방위치, 요추 과신전(전만), 골반 전방경사, 슬관절 과신전, 발목 약간 족저굴곡 - 전방복근, 슬건근은 약간 늘어나 있고 약화에 의한 것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 - 허리근육과 고관절 굴근은 단축된다. 편평등 자세(flat-back posture) - 머리 전방편위, 경추 약간신전, 흉추 증가된 굴곡(하부는 일직선), 요추는 감소된 굴곡(일직선), 골반 후방경사, 고관절 신전, 슬관절 신전, 발목관절 약간 족저굴곡 - 단관절 고관절 굴근(장요근) 약화 - 슬건근 단축 후면에서 보는 이상적인 정렬 참고) 측면몸통근육 - 요방형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고관절 외전근 - 중둔근,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 고관절 내전근 - 내반근 - 후경골근, 장지굴근, 장무지굴근 외반근 - 장비골근, 단비골근 - 머리는 중립위치 - 경추는 일직선 - 어깨는 평평 - 견갑골 중립위치. 내측연이 평행이고 약 8-10cm에 위치 - 흉추와 요추는 일직선 - 골반은 수평 - 고관절은 중립위치 - 하지는 일직선이고 내반슬, 외반슬이 보이지 않음 - 발은 양발이 평행을 이루거나 발 앞이 약간 벌어진 상태 우측골방 상향의 잘못된 정렬(89페이지) - 오른손 잡이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남 - 머리는 똑바로 세운상태, 경추 일직선, 어깨 오른쪽이 낮음, 견갑골 내전된 상태로 오른쪽이 약간 하강, 흉요추곡선이 좌측으로 틀어짐, 골반은 측면경사로 우측이 올라감, 고관절 오른쪽은 내전, 내회전 외쪽은 외전, 하지는 일직선(외반슬, 내반슬 없음), 발은 오른쪽 발이 회내, 왼발은 신체의 우측변위로 인해 자세성 회내가 보임. 신장과 약화 - 왼쪽 측면 몸통근육, 오른쪽 고관절 외전근(특히 후방 중둔근), 좌측 고관절 내전근, 오른쪽 내반근, 왼쪽 외반근 단축과 강화 - 반대 머리와 목의 잘못된 위치(91페이지) 1) 머리 후방경사 - 경추의 과신전, 가슴과 어깨가 높이 올라감. 2) 머리 전방경사 - straightening으로 경추의 정상적인 만곡자세와 반대 3) 교정을 위해 머리를 앞으로 내민 경우 - 상부흉추는 교정하지 않고 머리만 앞으로 내민 경우 4) 머리를 심하게 앞으로 내민상태 - 흉추는 후만되고 경추는 앞으로 내민상태 어깨와 견갑골(92페이지) 1) 견갑골. 외전되고 약간 거상 - 양쪽 견갑골이 외전되고 외쪽이 약간 심하게 외전, 거상된 상태로 견갑골이 거상되면 어깨와 등 상부가 둥글게 휘게 된다. 바로 위의 4)번상태인 머리를 심하게 앞으로 내민상태로 흉추는 후만되고 경추는 앞으로 내민상태로 되면서 심한 목, 후두부의 통증의 원인이다(91페이지 4번, 92페이지 그림참조) 2) 어깨 거상되고 견갑골은 내전 - 양측어깨가 거상되고 오른쪽이 약간 더 높다. 견갑골은 내회전상태, 상승모근과 다른 어깨거근들이 긴장된 상태 3) 어깨는 하강되고 견갑골은 외전 - 양측어깨가 심하게 처지고, 견갑골은 외전되어 있다. 교정을 위해 상부승모근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이 적극적으로 필요. 4) 견갑골 내전되고 거상 - 견갑골이 완전히 내전된 상태에서 상당히 거상. 이러한 습관이 계속되면 어깨를 이완시키려해도 능형근의 단축, 중승모근의 단축으로 견갑골이 쉽게 제자리로 되돌아 오지 않는다. - 특히 군사훈련을 받는 군인에게서 보인다. 5) 견갑골, 비정상적인 형상 - 견갑근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여 견갑골의 위치를 잘못 잡음. - 대원근과 능형근이 선명 - 전거근, 승모근이 약화됨 6) 내전되고 약간 들린 견갑골 - 견갑골이 약간 돌출되어 있는데 8세 아이에게서 흔히 보인다. 7) 외전된 견갑골과 앞으로 구부러진 어깨 - 가슴이 발달하는 사춘기 소녀에게서 보인다. 발과 무릎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 1) 발과 무릎의 올바른 정렬 - 슬개골이 전면을 향하고, 회내, 회외가 보이지 않는다. 2) 발의 회내와 대퇴골의 내측회전 - 발이 약간 회내, 슬개골의 위치는 내측으로 약간 회전된 상태 3) 발의 회내와 외반슬 - 양발은 약간 회내, 약간 외반슬 4) 올바른 발, 잘못된 무릎 - 발은 매우 올바른 정렬, 슬개골의 위치로 보아 대퇴골이 내측으로 회전되어 있음. - 이러한 결점은 내측회전을 동반한 호내의 경우보다 신발을 이용하여 교정하기가 더 어렵다. 5) 회외된 발 - 족궁이 높다. 6) 다리의 외측 회전 - 고관절의 외회전으로 인한 결과이다. 무릎은 슬개골의 위치를 기록한 "치료적 운동의 원리와 실제"를 같이 정리할 필요 무릎과 하퇴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 1) 올바른 정렬 - 측면에서 볼때 무릎의 올바른 정렬은 추선이 슬관절 축의 약간 앞쪽을 지난다. 2) 완만한 무릎 굴곡 - 굴곡된 자세에서는 대퇴사두근에 힘이 가게 된다. - 선자세에서 무릎굴곡의 원인은 고관절 굴근(장요근)의 단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고관절 굴근이 긴장되면 보상작용으로 무릎, 요추의 정렬에 장애를 초래한다. - 서 있는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려 요추전만을 해소하려는 것은 안되고 고관절 굴근의 스트레칭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3) 무릎의 과신전 - 무릎이 지나친 과신전은 발목관절의 족저굴곡상태를 유발한다. 다리의 정렬 1) 올바른 정렬 2) 내반슬 3) 외반슬 하퇴의 올바른 정렬과 잘못된 정렬을 보여주는 x-ray 사진 - 96페이지 외반슬과 내반슬 자세(97페이지 그림) 1) 이상적인 정렬 - 이상적인 정렬은 고관절이 중립위치에 있고 슬개골이 정확하게 전방을 향해야 한다. - 슬관절의 축은 관상면 내에 있고, 시상면내에서 굴곡과 신전이 이루어진다. 2) 내반슬 자세 - 대퇴골의 내측 회전, 양발의 회내, 무릎의 과신전이 복합적으로 작용. - 대퇴골이 내측회전하면 무릎의 굴곡과 신전축은 관상면에서 비스듬히 위치한다. 이 축에서부터 후측면으로 과신전이 발생하며, 그 결과 무릎이 벌어지고 하퇴가 심하게 기울게 된다. 3) 외반슬 자세 - 대퇴골의 외측회전, 양발의 회외, 무릎의 과신전이 복합적으로 작용. - 외측회전으로 인해 무릎축이 관상면에서 비스듬하게 위치하며, 과신전으로 인하여 무릎이 내전된다. 외반슬을 보상하는 내반슬 자세 - 아이들은 종종 외반슬때문에 창피한 마음을 갖게 되고 한쪽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다른 쪽 무릎을 과신전하는 방법으로 양쪽 무릎이 더 가까워지도록하여 외반슬 상태를 감추기도 한다. 습관이 되면 구조적 문제로 변형이 된다. 앉은 자세 - 앉은 자세에서 올바른 신체정렬을 유지할 경우, 자세와 관련된 문제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 - 그림 참조 - 무릎을 꼬고 앉는 경우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등받이가 없는 의자의 경우는 등을 세우고 골반이 전방으로 기울어 요추가 휘게 되는데, 이때 무릎을 꼬고 앉으면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않아 고관절과 요추가 안정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 완벽한 의자는 없다. 자세검사 과정 - 자세검사는 세부분으로 구성된다. 1) 서있는 자세에서의 정렬 검사 2) 유연성과 근육길이 검사 3) 근력검사 장비 1) 자세판 - 족문이 그려진 판 2) 추선 3) 상대적인 높이를 측정하는 접자 4) 블록세트 6개 5) 마킹 펜 6) 줄자 7) 검사결과를 기록할 차트 8) 검사에 적당한 옷 선자세에서의 정렬 1) 전면(anterior view) - 검사자는 발, 무릎, 다리의 위치를 검사한다. 발가락위치, 종족궁의 형태, 발의 회내와 회외 상태에서의 정렬, 슬개골의 위치로 본 대퇴골의 회전, 내반슬 또는 외반슬, 머리의 회전, 늑골의 비정상적인 모습 2) 측면(lateral view) - 외측복사뼈 바로 앞으로 추선을 늘어뜨린 상태에서, 전체 몸과 추선과의 관계를 관찰하여 "추선정렬"란에 기록한다. 예) - 발목의 배측굴곡으로 몸이 전방경사 - 골반과 머리의 전방변위 - 요추전만을 제외하고 양호함 - 몸통상부와 머리의 후방경사 - 무릎이 바른 정렬상태인지, 과신전 상태인지 굴곡상태인지 관찰 - 골반의 위치를 검사하고 - 척추의 전후방 곡선이 정상인지 과장되어 있는지를 검사 - 머리가 전방으로 향하고 있는지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 가슴의 위치가 정상인지, 하강 또는 거상되어 있는지 - 복벽의 윤곽 등을 검사 후면(posterior view) - 추선이 발꿈치 사이의 중간지점을 통과하도록 한 상태에서 검사 - 특히 척추측만증 환자를 검사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자세와 추선과의 관계를 검사하는 것이 중요 - 척추측만증의 경우 몸을 앞으로 구부릴때 척추나 흉곽의 회전을 검사해야 한다. - 추선이 경추 7번, 양쪽 둔부 사이의 경계선과 일치하게 되면 척추의 만곡을 측정하기 좋지만, 측면경사로 인해 척추가 편위를 일으킨 경우와 같이 자세상의 결점이나 골반의 측면이동을 척추가 보상하고 있는 경우는 측정하기가 어렵다. - 종골건의 정렬 - 고관절의 내전 또는 외전 - 후상장골극의 상대적 높이 - 측면골반경사 - 척추측면 편위 - 어깨와 견갑골의 위치 등을 검사해야 유연성 검사와 근육길이 검사 1) 몸통앞으로 구부리기 - 몸통 앞으로 구부리기는 '정상, 제한 또는 정상 +"으로 기록한다. - 몸통 앞으로 구부리기는 선자세 앉은자세에서 모두 검사가 가능하지만 저자는 앉은자세에서 앞으로 구부리는 검사가 유연성을 더 잘 나타낸다고 생각 - 만약 앉은 자세에서는 유연성이 정상이지만 선자세에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다면 이것은 골반회전이나 측면골반경사가 있는 것으로 요추회전이 발생하여 유연성이 제한되는 것이다. 2) 팔을 머리로 들어올리는 검사 - 팔을 머리로 들어올리는 검사는 '정상 또는 제한"으로 기록되며, 제한된 경우에 경미함, 보통임, 심각함으로 기록한다. 3) 몸통 신전 - 몸통신전은 몸통을 뒤로 구부리는 검사로 서 있는 자세에서 실시한다. 4) 측면유연성 검사 - 예를들어 오른쪽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것은 인대, 관절의 긴장으로 척추동작에 제약이 가해진 경우가 아니라면 왼쪽 몸통근육의 긴장으로 해석한다. 근력검사(muscle strength test) - 근육을 검사할때 6장, 7장, 8장에 설명되어 있는 자세검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 검사는 상복근, 하복근, 복사근, 측면몸통굴근, 등신근, 중승모근과 하승모근, 전거근, 중둔근, 대둔근, 슬건근, 고관절 굴근, 가자미근, 발가락 굴근 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다. - 자세정렬에서 전후방 편위와 관련된 문제의 경우 복근, 등근육, 고관절 굴근과 신근, 가자미근을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고, 측면편위의 경우 복사근, 측면몸통굴근, 대둔근 검사가 중요하다. 검사결과 해석 - 자세정렬검사를 통한 잘못된 신체구조를 근육검사를 통해 다시 확인하게 되는데, 이대 두 검사 모두가 정확해야 한다. - 두 검사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가 있는데, 이수패턴과 관련하여 오래전에 상처가 신체정렬을 변화시킨 경우, 최근의 상처가 정렬의 변형을 초래한 경우, 측면만곡된 어린이가 c형 곡선에서 s형 곡선으로 옮아가는 과도기에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 유연성이 좋은 어린이를 제외하고는 검사시 발견되는 자세상의 문제점은 주로 개인의 잘못된 습관에서 비롯된다. 어린아이들은 주기적으로 정렬검사를 받고 바람작한 자세가 제시되어야 한다. - 척추측만증은 10세에서 14세의 여자아이에서 남자아이보다 다발하므로 주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다리길이의 측정 실제 다리길이 - "실제 다리길이"는 전상장골극에서 내측복사뼈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 양쪽하지가 골반과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리길이를 측정하기 전에 몸통과 다리에 대한 골반의 정렬을 고정시켜 놓는 것이 필요하다. - 골반회전 또는 측면경사는 골반과 하지의 관계를 변화시켜 측정치가 변하게 된다. 최대한 정확한 수치를 얻기 위해서 피검사자는 몸통, 골반, 다리를 똑바로 펴고 누워 양다리를 엇갈리게 한다. 골반의 측면경사나 회전을 측정하기 위해 전상장골극부터 배꼽까지 거리를 왼쪽과 오른쪽 모두 측정한다. 두 측정치가 차이가 날 경우 다리길이를 측정하기 전에 골반을 수평으로 놓아 회전상태를 최대한 바로 잡는다. 외관상 다리길이 - 외관상 다리길이는 배꼽부터 내측복사뼈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서있을때와 누워있을때의 골반경사는 반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차이가 난다. - 선자세에서 약한 근육이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 정렬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를들어 오른쪽 중둔근이 약하게 되면 골반이 우측으로 편위되어 오른쪽이 거상되어 오른쪽 다리가 더 길어보인다. 이 자세로 오래 서 있어 자세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면 측면 몸통근육이 단축되어 89페이지 자세처럼 변하게 된다. - 누워있는 자세의 경우, 주로 강화된 근육의 당김으로부터 정렬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위에서 설명한 근육 불균형의 경우 피검자는 오른쪽 측면 몸통근육단축, 중둔근 약화되어 있어 누운상태에서 오른쪽 다리가 올라가게 되어 왼쪽보다 더 짧아보이게 된다. - 신발굽을 높이는 것의 필요성은 선자세에서의 길이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이같은 목적을 위해 다양한 두깨의 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세검사 - 104페이지 - 자세검사 차트 기록 예. 105페이지 잘못된 측면자세의 분석과 치료법. 1) 요추전만자세(lordosis) - 요추과신전, 전방골반경사, 고관절 굴곡 - 단축 : 요추기립근, 고관절 굴근 - 약화 : 복부(특히 외복사근), 고관절 신근 - 긴장된 허리근육 스트레칭, 후방골반경사운동을 통해 복근을 강화, 단축된 경우 고관절 굴근을 스트레칭(윗몸일으키기는 고관절 굴근의 단축을 유발할 우려때문에 피함), 약해진 경우 고관절 신근 강화. 2) 편평등 자세(flat-back posture) - 요추굴곡, 후방골반경사, 고관절 신전 - 단축 : 전방복근, 고관절 신근 - 약화 : 요추기립근, 고관절 굴근(장요근) - 허리근육은 약해지는 경우가 드물지만 약해졌다면 요추기립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실시, 골반의 전방경사로 요추의 곡선을 만들 수 있다. 장요근 강화운동 실시, 엎드린 자세에서 과신전은 후방경사를 증가시키고 고관절 굴근을 신장시키므로 피함. 3) 굽은등 자세(sway-back posture) - 등상부의 후방변위정도에 따른 요추의 위치, 후방골반경사, 고관절 신전 - 단축 : 전방상복근(특히 내복사근과 상부복직근), 고관절 신근 - 약화 : 전방하복근(특히 외복사근), 고관절 굴근(장요근) - 하복근을 강화(외복사근 강화), 두팔을 머리위로 뻗은 상태에서 숨을 깊이 들이마셔 긴장된 늑간근과 상복근을 스트레칭, 벽에 기대어 하는 운동이 특히 효력이 있음. 긴장된 슬건근 스트레칭, 고관절 굴근이 약해졌으면 앉은 자세에서 고관절 굴곡운동을 시행 또는 누운자세에서 다리들어올리는 운동으로 하복근 강화와 장요근 강화를 동시에 완성. 복근의 좌상방지를 위해 두다리를 한꺼번에 드는 것은 피함. 잘못된 머리와 어깨 위치 분석과 치료 1) 머리가 전방으로 나옴 - 경추의 과신전 - 경추신근, 상승모근, 견갑거근 단축 - 경추굴근 약화로 늘어남 척추후만증과 하강된 가슴 - 흉추의 굴곡과 늑간간격의 감소 - 내복사근의 상부측면섬유, 어깨 내전근, 소흉근, 늑간근 약화 - 흉추신근, 중승모근, 하승모근 약화로 늘어남 어깨가 전방으로 나옴 - 견갑골이 외전되고 일반적으로 거상됨 - 전거근, 소흉근, 상승모근 단축 - 중승모근, 하승모근 약화로 늘어남 => 치료 - 경추신근이 단축된 경우 스트레칭, 경추굴근이 약화된 경우 굴근 강화운동, 머리가 전방으로 나온 경우는 대개 등 상부의 자세가 잘못된 경우이다. 등상부를 교정하면 자연스럽게 머리위치는 교정이 된다. - 흉추신근을 강화, 깊은 숨을 쉬는 운동은 늑간근과 상복근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 소흉근 스트레칭, 어깨내전근과 내측회전근이 단축된 경우 스트레칭 - 중승모근과 하승모근은 강화 2) 약간의 흉요추 좌측 측만증(C곡선) - 흉요추 측면굴곡, 왼쪽으로 볼록한 상태 - 단축 : 오른쪽 측면 몸통근육 - 약화 : 왼쪽 측면 몸통근육 - 측면골반경사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는 오른쪽 측면몸통근육이 단축되었으므로 스트레칭, 왼쪽 측면몸통근육이 약해졌으면 근육 강화 - 측면골반경사가 일어난 경우는 측면굴곡을 심화시키는 잘못된 습관을 바로잡는다. 즉 왼쪽 발에 체중을 싣고 앉아 잇는 습관은 피한다. 책을 읽거나 글씨쓸때 왼쪽편으로 누워 팔꿈치로 받치고 있는 동작은 피한다. 약해졌다고 느끼는 경우, 앉은 자세에서 오른쪽 장요근 운동을 한다. 3) 오른쪽 고관절이 높은 경우 - 오른쪽이 높은 골반의 측면경사, 오른쪽 고관절 내전, 왼쪽 고관절 외전 - 단축 : 오른쪽 측면 몸통근육, 왼쪽 고관절 외전근과 대퇴근막장근, 오른쪽 고관절 내전근 - 약화 : 왼쪽 측면 몸통근육, 오른쪽 고관절 외전근(특히 중둔근), 왼쪽 고관절 내전근 - 오른쪽 측면 몸통근육이 단축된 경우는 스트레칭, 왼쪽 측면 몸통근육이 약화된 경우는 강화운동 - 왼쪽 측면 대퇴부 근육과 근막이 단축된 경우 스트레칭, 오른쪽 중둔근 강화를 위한 운동을 하는 것은 불필요, - 서있을때에는 한쪽 발에 체중이 실리지 않게 하여 골반이 수평이 되도록 한다. - 오른 쪽 다리에 체중을 실은 자세로 서 있게 되면 오른쪽 고관절이 내전되므로 피한다. - 일시적으로 왼쪽 발꿈치를 높여주거나 패드를 대준다. 하퇴, 무릎, 발의 잘못된 위치 분석과 치료 1) 과신전된 무릎 - 무릎 과신전, 발목 족저굴곡 - 단축된 근육 : 대퇴 사두근, 가자미근 - 늘어난 근육 : 슬와근, 슬건근의 무릎부위 - 무릎의 과신전을 피하는 자세에 역점을 두어 전체적인 자세교정을 실시 2) 굴곡된 무릎 - 무릎 굴곡, 발목 배측굴곡 - 단축 : 슬와근, 슬건근의 무릎부위 - 약화 : 대퇴사두근, 가자미근 - 무릎 굴근의 스트레칭, 고관절 굴근의 단축을 스트레칭 3) 대퇴골의 내측회전(발의 회내) - 4) 외반슬 5) 자세성 내반슬 6) 회내 7) 회외 8) 추상족지와 낮은 중족궁 발육과 환경이 자세에 미치는 영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