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여름 보양식품은 식초다.
체내의 독소를 제거해주며 혈액순환을 돕고 지방분해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로의 원인인 젖산을 분해하여 피로 회복에도 좋고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것을 막아준다.
과거엔 삼계탕, 보신탕, 추어탕을 보양식품으로 보았지만 영양과잉인 요즘 사람들에게는 추천할 만한 것이 못된다.
한용영 청운대 식품영약학과 교수는 “식초는 무기질, 아미노산, 구연산 등이 풍부한 따뜻한 성질의 식품”이라며 “차가운 음식을 자주 먹게 되는 여름철에 소화작용을 도와 체하지 않게 하며 식초의 초산성분이 살균작용을 하여 식중독도 예방해준다”고 했다.
식품영양학 박사인 전형주 미사랑피부비만클리닉 원장은 “식초의 알리티아민 성분은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시스테인과 메티오닌 등의 아미노산 성분은 체내 해독작용을 해준다”고 말했다.
식초는 6개월 간 꾸준히 마셨을 때 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식사 후에 마시는 것이 소화를 원활하게 해준다. 식초의 원액은 위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그대로 마시는 것보다 기호에 맞게 희석해서 마시는 것이 좋다.
한용영 교수는 “특히 위산과다나 위궤양 등이 있는 사람은 공복에 마시지 않고 식후에 물에 희석해서 먹는 것이 좋다”고 했다. 한번에 한 숟가락 정도, 하루 세 차례 복용하면 된다.
‘과일식초 건강요리 49가지’(살림LIFE)의 저자 김외순 씨는 제철 과일을 이용한 과일식초 만들기를 추천했다. 김씨는 “천연 발효 현미식초를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시중에 파는 현미식초를 사용해도 무방하다”며 “물기가 많은 과일의 경우, 식초가 희석될 수 있으므로 용기의 20%를 넘지 않게 과일을 담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완성된 식초는 유리병이나 도자기에 20~30% 여유를 두고 담은 뒤 밀폐해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보관한다. 적은 양의 경우에는 냉장 보관해도 무방하며 상온에 보관할 경우에는 가스가 차는 것을 막기 위해 온도가 높은 곳은 피하고 자주 용기를 옮기지 않도록 한다.
과일의 향과 맛이 배어들게 하려면 한 달 이상 숙성시키는 것이 좋다.
▽ 수박 식초
수박은 비타민 A, C, 당질, 섬유질이 풍부하다. 당질 중 포도당과 과당이 많아 몸에 흡수가 빠르다. 피로할 때 먹으면 쉽게 피로가 풀린다.
수박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물기를 빼고 껍질째 썰어 200g정도를 밀폐용기에 담는다.
수박은 물기가 많은 과일이기 때문에 현미식초 1000ml를 붓고 냉장고에 한 달 정도 넣어둔다.
수박식초를 돼지고기 찜, 생선 찜 등 담백한 찜 요리에 넣으면 맛을 부드럽게 해주면서 위에도 부담을 주지 않고 소화를 촉진시킨다.
▽ 참외 식초
참외는 당질, 단백질, 지질이 풍부하고 칼슘, 무기질, 비타민 함량이 높다. 피로 회복에 좋고 산성으로 변한 몸을 중화해 준다.
참외 2개를 깨끗하게 씻어 껍질째 1센티미터 두께로 잘라 밀폐용기에 담는다. 여기에 현미식초 1000ml를 붓고 냉장고에 한 달 정도 넣어둔다.
참외식초는 참외 향은 나지만 맛은 현미식초와 비슷해서 나물을 무치거나 냉채를 할 때 음식 맛을 살리면서 은은한 향을 내준다.
▽ 토마토 식초
토마토 식초는 치즈나 달걀이 들어간 요리에 잘 어울리고 해산물과 아주 잘 어울린다. 해산물 무침이나 볶음, 조림에 토마토 식초를 넣으면 비린 맛이 나지 않는다.
방울토마토 100g을 씻고 꼭지를 딴 다음 물기를 닦고 밀폐용기에 담는다. 현미 식초 1000ml를 붓고 한 달 정도 넣어둔다.
▽ 블루베리 식초
블루베리의 진보라색 안토시안 색소는 혈관에 있는 노폐물을 배출하고 혈관을 깨끗하게 해 심장병과 뇌질환을 예방해준다.
블루베리 1컵을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빼고 밀폐용기에 담는다. 감식초 1000ml를 붓고 냉장고에 한 달 정도 넣어둔다.
▽ 자두 식초
자두는 비타민C가 풍부하고 구연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항산화 작용이 우수해 항암작용도 하며, 면역력도 높여준다.
자두는 칼집은 내서 넣거나 과육을 발라서 밀폐용기에 20% 이하 용량으로 담는다. 현미식초 1000ml를 붓고 냉장고에 한 달 정도 넣어둔다.
출처: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01638_2892.html
노란색 과일
레몬같은 노란색 과일들은 비타민C,카로티노이드,플로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제가 많이 들어 있다. 노란색 색소인 플라보노이등(리모노이드+나린진+헤스페리딘)는 항암,항염증,항산화제 역할을 한다. 플로보노이드의 헤스페리딘은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암을 예방하기도 한다.하루 200~500mg의 플라보노이드(귤 4개를 껍질째 먹는 양)의 섭취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20% 낮출 수 있다. 레몬의 신맛을 내는 구연산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류흐름을 향상시킨다. 비타민C는 심장이 정지되는 현대판 돌연사인 괴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비타민C는 스트레스로 생기는 활성산소를 차단하고, 항히스타민 효과를 높이며, 면역체계를 강화한다.
색깔:노랑 과일종류:살구,골든 키위,레몬,망고,황도,오렌지,파파야,파인애플 함유성분:비타민C,구연산,나린진,헤스페리딘,플로보노이드,가로티노이드 효능:심질환예방,시력향상,면역력 증가,항암 작요,항산화제
보라색과일
포도와 블루베리와 같은 보라색 과일은 안토시안(보라색 색소), 페놀산과 같은 건강 촉진 성분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안토시안은 보라색 색소로서 척박한 환경에서 스스로 악조건을 이겨내기 위해 만들어 내는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다. 안토시안과 비타민C의 항산화력을 비교 실험한 결과, 안토시안은 비타민보다 2배 이상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었다. 안토시안의 항산화력은 산소 자유 라디칼을 제거해 발휘한다. 또한 포도 섭취에 관한 실험을 한 결과, LDL 콜레스테롤과 심혈관 관계 염증인자가 많이 감소했고, 블루베리를 많이 섭취하는 핀란드의 북부는 남부보다 직장암 발생률이 낮았다.
색깔:보라 과일종류:블루베리,포도,말린,서양자두,자주색,무화과,건포도,머루,오디 함유성분:안토시안,페놀산 효능:강력한 항산화제,항암 작용,비뇨기계 건강,기억력 향상,노화 방지,심혈관 질환 예방
붉은색과일
붉은색 과일에는 리코펜과 안토시아닌이 많이 함유돼 있다. 복분자의 붉은 색소인 플라보노이드는 성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리에 들어 있는 멜라토닌과 안토시아닌, 페릴릴알코올은 DNA 손상 방지와 항산화 효과가 있다. 사과의 붉은 껍질에 함유된 퀘르세틴과 캠페롤은 암 성장의 40%를 감소시켰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토마토의 리코펜 성분은 강력한 항암 작용을 한다. 햇빛에 완전히 익은 토마토일수록, 기름에 볶거나 끓이고 열로 익혔을 때 리코펜 성분의 효과는 증대된다. 붉은색 과일의 카로티노이드 성분은 흡연을 하면 쉽게 파괴되지만 토마토의 리코펜은 항암 효과를 유지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색깔:빨강 과일종류:체리,석류,딸기,수박,버찌,사과,홍당무,붉은 양파,포도씨 함유성분:리코펜,안토시아닌,플라보노이드,멜라토닌,페릴릴알코올,퀘르세틴,캠페롤,카로티노이드 효능:항암 작용,성기능 향상,항산화 효과,DNA 손상 방지
녹색과일
녹색 과일에는 항산화제인 루테인과 인돌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녹색 과일인 키위는 저열량, 저지방, 고영양 과일이다. 키위의 주요 영양소는 비타민C(오렌지의 2배), 비타민E(사과의 6배), 루테인, 엽산, 구리, 마그네슘, 칼륨, 섬유소(바나나의 5배)이다. 키위의 루테인은 눈을 건강하게 한다. 키위의 섬유소 및 다양한 미네랄은 장 운동을 활성화하고, 소화기능을 개선시킨다.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돼 있어 이들의 시너지 효과로 더욱 강력한 항산화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키위를 많이 섭취하면 배탈이 날 수 있기 때문에 하루에 2개가 적당하다. 키위 외에 아보카도는 17종의 다양한 미네랄이 들어 있고, 콜레스테롤이 없지만 고열량 과일이다.
색깔:녹색 과일종류:아보카도,청사과,청포도,키위,라임 함유성분:루테인,인돌,비타민 효능:항암 효과,시력 향상,소화기능,향상항산화제
출처:http://www.kormedi.com/care/center/Default.aspx?category=040605&idx=127
모든출처:http://www.kormedi.com/Search_sunghois.aspx?kn_section=&kn_keyword=과일,http://www.kormedi.com/search.aspx?kn_section=&kn_keyword=과일식초
출처 : 송하^^ | 글쓴이 : 몰라송 | 원글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