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농작물 씨앗 파종 시기 입니다.
월 | 작물명 | 파종방법 | 파종시기 | 재식거리 | 재배시 유의사항 | 씨앗넣기 | 아주심기 | (고랑푝*포기사이) | 2 | 고추 | 모종 | 1.25~2. 5 | 05월 05일 | 80*30 | 다비성작물,지지대 설치,곁순제거, | 병충해 방지대책강구 | 곰취 | 모종 | 02월 10일 | 05월 05일 | 25*25 | 발아 억제물질 제거후 파종 | 3 | 와송 | 모종 | 03월 20일 | 05월 05일 | 20*20 | 두해살이,토질개선 | 상채 | 종근이식 | 3.10~3.20 | | 20*20 | 흙살이 좋은곳에서 재배,고온에는 차광 | 완두콩 | 직파 | 03월 20일 | | 30*30 | 봄파종은 찬기운이 있을때, | 2~3시간 물에 담궜다가 파종. 오잇망으로 지지대 설치 | | 봄배추 | 모종 | 03월 15일 | 04월 10일 | 60*40 | 벼룩 잎벌레,진딧물 방제에 주의 | 감자 | 씨감자 | 03월 25일 | | 70*20 | 산광최아,검정비닐멀칭,서리피해주의,곁순제거 | 대파 | 직파 | 03월 20일 | | 골뿌림 | | 여주 | 모종 | 03월 20일 | 05월 20일 | 150*40 | 지지대 설치 | 방풍 | 직파 | 03월 20일 | | 흩어뿌림 | 연작금지 | 작두콩 | 모종 | 03월 20일 | 05월 10일 | 90*30 | 지지대 설치 | 청경채 | 직파 | 03월 30일 | | 골뿌림(30간격) | | 호박 | 모종 | 03월 20일 | 05월 05일 | 150*70 | 냉해방지 위한 이식후 캡 작업 | 수박 | 모종 | 02월 10일 | 05월 10일 | 200*40 | 순지르기 | 개똥쑥 | 모종 | 03월 20일 | 05월 10일 | 60*30 | 미세씨앗, 복토하지 않음 | 참외 | 모종 | 02월 20일 | 05월 10일 | 200*40 | 순지르기 | 동아 | 모종 | 03월 25일 | 05월 10일 | 200*40 | 짚 멀칭 | 흰민들레 | 모종 | 03월 20일 | 05월 10일 | 20*20 | 미세씨앗파종, 저온처리후 파종, | (한달쯤 냉동보관) | 단호박 | 모종 | 03월 25일 | 05월 05일 | 150*70 | 냉해방지 위한 이식후 캡 작업 | 조선오이 | 모종 | 03월 25일 | 05월 05일 | 150*40 | 지지대 설치, 곁순제거 | 상추 | 직파,모종 | 03월 20일 | | 골뿌림 | | 수세미 | 모종 | 03월 20일 | 05월 20일 | 150*40 | 오이망 지지대 설치 | 야콘 | 모종 | 3월초 | 05월 05일 | 8*830 | 도복방지 | 사두오이 | 모종 | 03월 20일 | 05월 10일 | 150*40 | 오이망 지지대 설치 | 케일 | 모종 | 03월 10일 | 05월 10일 | 40*40 | 진딧물 방제 철저 | 순무 | 직파 | 03월 10일 | | 골뿌림(30*20) | | 아욱 | 직파 | 3월말, 9월초 | | 골뿌림(30간격) | 복토는 얇게 한다 | 열무 | 직파 | 03월 20일 | | 골뿌림(40간격) | 벼룩잎 벌레 방제 철저 | 가지 | 모종 | 02월 05일 | 05월 05일 | 100*50 | 다비성작물,연작금지,잎따기,곁순제거, | 토마토 | 모종 | 03월 05일 | 05월 05일 | 90*40 | 다비성장물,가지과 작물과 연작금지, | 곁순제거,칼슘시비 | 눈개승마 | 모종 | 03월 15일 | 05월 10일 | 50*30 | 반음지식물 차광 | 부짓깽이 | 직파 | 03월 20일 | | 흩어뿌림 | | 참나물 | 직파 | 03월 20일 | | 흩어뿌림 | | 더덕 | 직파 | 03월 20일 | | 흩어뿌림 | 지지대 설치 | 도라지 | 직파 | 03월 20일 | | 흩어뿌림 | 오이망 설치-도복방지,꽃대제거 | 참취 | 직파 | 03월 20일 | | 흩어뿌림 | | 시금치 | 직파 | 03월 20일 | | 골뿌림(40간격) | | 4 | 지치 | 직파,모종 | 3.15(육묘) | 05월 10일 | | 차광 | 4.15(직파) | 돼지감자 | 씨감자파종 | 04월 20일 | | 70*30 | 심는깊이 15Cm, 열악환경에도 잘자람 | 목화 | 직파 | 04월 20일 | | 점뿌림(40*20) | 8월상순에 순치기 | 홍화 | 직파 | 04월 05일 | | 점뿌림(40*30) | 직파,유황살포,지지대설치 | 결명자 | 직파 | 04월 20일 | | 점뿌림(60*20) | 물에다 3시간쯤 담갔다가 파종 | 토란 | 종근파종 | 04월 20일 | | 50*25 | 습한곳이 적지, 3월중순부터 촉을 낸다 | 하수오 | 직파 | 04월 20일 | | 점뿌림 | 지지대 설치 | 곤드레 | 직파 | 04월 20일 | | 흩어뿌림 | | 얼갈이무 | 직파 | 04월 20일 | | 골뿌림(40간격) | 벼룩잎벌레방제 철저 | 쑥갓 | 직파 | 04월 20일 | | 골뿌림(40간격) | | 봄당근 | 직파 | 04월 01일 | | 흩어뿌림 | 상토로 복토,순차적으로 솎아내기 | 돌산갓 | 직파 | 04월 20일 | | 골뿌림(40간격) | 거름을 좋아함 | 우엉 | 직파 | 04월 20일 | | 줄뿌림(60*20) | 연작하면 병충해발생이 심해짐 | 잎들깨 | 직파 | 04월 10일 | | | 아랫잎부터 수확 | 부추 | 직파 | 3/25~4/5 | | 골뿌림 | 하루정도 물에 담갔다 말려서 파종 | 율무 | 직파 | 04월 30일 | | 골뿌림(40간격) | | 초석잠 | 종서파종 | 04월 15일 | | 30*30 | 가을부터 봄까지 수확가능 | 둥근마 | 종서파종 | 04월 15일 | | 90*30 | 지지대 설치 | 아피오스 | 종서파종 | 04월 15일 | | 70*30 | 지지대 설치 | 삼백초 | 종근이식 | 04월 10일 | | 40*10 | 2~3마디 길이5Cm를 4Cm깊이 | 어성초 | 종근이식 | 04월 10일 | | 40*10 | 2~3마디 길이5Cm를 4Cm깊이 | 옥수수 | 직파,모종 | 4,1(육묘) | 05월 05일 | 70*25 | 본잎이 2~3장 나왔을때 아주심기 | 4.20(직파) | 곁순,곁이삭제거,적절한 시기에 시비 | 땅콩 | 직파,모종 | 4.10(육묘) | 05월 05일 | 25*25 | 비닐 멀칭후 자방병 출현시 비닐제거 | 4.15(직파) | 울타리콩 | 직파 | 04월 10일 | | 70*40 | | 생강 | 종서파종 | 04월 10일 | | 40*20 | 짚멀칭, 3월중순부터 촉을낸다 | 강낭콩 | 직파 | 04월 10일 | | 40*40 | | 5 | 고구마 | 순심기 | 03월 01일 | 05월 10일 | 70*25 | 적절한 시기에 황산가리 시비 | 참깨 | 직파 | 05월 20일 | | 60*30*30 | 도복주의,순지르기, 첫째방부터 25번째 | 마디에서 순지르기 | 키작은수수 | 직파 | 05월 10일 | | 점뿌림(70*20) | 수발아주의,노린재주의 | 동부 | 직파 | 05월 20일 | | 점뿌림(50*20) | | 들깨 | 육묘 | 5/20~5/25 | 6/15~6/20 | 50*50 | 순지르기 | 6 | 기장 | 직파 | 06월 01일 | | 골뿌림(40간격) | | 조 | 직파 | 06월 10일 | | 흩어뿌림 | | 콩 | 직파 | 06월 25일 | | 점뿌림(60*15) | 조류피해예방,톱다리허리노린재방제대책 | 녹두 | 직파 | 06월 25일 | | 점뿌림(50*20) | 수발아주의,톱다리허리노린재방제대책 | 팥 | 직파 | 06월 25일 | | 점뿌림(60*20) | | 산마늘 | 직파 | 6월말~7월초 | | 흩어뿌림 | 채종 즉시 파종, 차광막 설치 | 종구이식20*20 | 7 | 브로콜리 | 모종 | 07월 10일 | | 80*30 | | 달래 | 종구파종 | 08월 10일 | | 흩어뿌림 | | 8 | 가을당근 | 직파 | 08월 01일 | | 흩어뿌림 | 상토로 복토,순차적으로 솎아내기 | 곰보배추 | 직파 | 08월 10일 | | 흩어뿌림 | | 메밀 | 직파 | 08월 01일 | | 흩어뿌림 | | 김장무 | 직파 | 08월 15일 | | 점뿌림(30*30) | 순차적으로 솎아내기 | 김장배추 | 모종 | 08월 01일 | 08월 25일 | 60*40 | 웃거름-15일간격으로 3~4회 | 콜라비 | 모종 | 08월 01일 | 08월 25일 | 30*30 | 웃거름-15일간격으로 3~4회 | 양파 | 육모 | 8/25~9/5 | 10월 25일 | 흩어뿌림 | 상토로 복토,차광막설치,투명멀칭, | 모종20*10 | 아주심기후 충분한 관수 | 9 | 쪽파 | 종구파종 | 09월 02일 | | 30*20 | 종자용은 한주늦게파종,고자리파리주의 | 알타리무 | 직파 | 09월 02일 | | 골뿌림(40간격) | | 청갓 | 직파 | 09월 05일 | | 흩어뿌림 | 솎아내기,거름 좋아함 | 돌산갓 | 직파 | 09월 05일 | | 흩어뿌림 | 솎아내기,거름 좋아함 | 돼지파 | 종구파종 | 09월 05일 | | 30*20 | 생육더딤, 4월 촉에 종구솎아내기 | 10 | 유채 | 직파 | 10월 15일 | | 골뿌림(40간격) | | 마늘 | 씨마늘파종 | 10월 25일 | | 20*10 | 종구소독,투명비닐멀칭,늦은추지금지 | 시금치 | 직파 | 10월 25일 | | 흩어뿌림 | | 11 | 방풍 | 직파 | 11월 05일 | | 흩어뿌림 | | 당귀 | 직파 | 11월 05일 | | 흩어뿌림 | 추대발생주의 | 곰취 | 직파 | 11월 05일 | | 흩어뿌림 | | 인삼 | 직파 | 11월 10일 | | 흩어뿌림 | 개갑후 파종 | 더덕 | 직파 | 11월 10일 | | 흩어뿌림 | 짚멀칭 | 도라지 | 직파 | 11월 10일 | | | 짚멀칭 | 참취 | 직파 | 11월 10일 | | | | | * 직파 : 밭에 직접 씨를 뿌림 | | | | | * 모종 : 포트나 연결트레이에 모종을 키워 아주 심기 | | | * 육모 : 묘상에서 모종을 키워 아주 심기 | | | | * 씨앗 파종후 복토는 씨앗 두께의 2~3배가 기본 | | | | * 개똥쑥,눈개승마,와송등과 같이 씨가 작은 미세 씨앗은 복토하지 않음. |
|
24절기 중심 텃밭가꾸기 연중 행사표 ◀ 2 4 절 기 | 조경수 피는꽃 | 채소중심 씨뿌리기 | 옮겨심기 | 거두기 | 소한 (1.6~7) | 북풍한설이 팍팍 시작한다 | | - | | | 대한(1.20~21) | 몹씨 춥다 | | - | | 음력 12월 /한해 끝^ | 입춘 (2.4~5) | 봄기운이 일어나다 | | - | | 양력 한해 시작 절기 | 우수(2.19~20) | 얼음이 녹고 봄비내린다 | 매화 | 고추 | | | 경칩 (3.6~7) | 개구리 겨울잠 깬다 | | 쑥갓 | | | 춘분(3.21~22) | 밤과 낮 길이가 같다 | 목련, 개나리 | 호박,고구마,감자,상추,가지,대파1차.부추1차,홍화 | | | 청명 (4.5~6) | 밝고 화창하다/ 식목일/묘소단장 | 복숭아꽃,진달래 | 토마토,오이,참외,봄배추,옥수수,시금치1차 | | | 곡우(4.20~21) | 곡식이 잘 되는 비가 내린다 | 산철쭉, 유채꽃 | 수박,토란,들깨,생강,벼,목화 | 가지 | | 입하 (5.6~7) | 여름 기운이 일어선다 | 아카시아꽃,이팝나무꽃 | | 고추,호박,오이,봄배추 | | 소만(5.21~22) | 양기/따뜻한 기운 충만해진다 | 배롱나무 꽃 1차 핌 | 참깨,무1차 | 토마토,수박,참외,고구마, 상추,들깨,부추2차,벼/모내기 | | 망종 (6.6~7) | 햇보리가 난다 | 장미 | 시금치 2차 | | 양파 | 하지(6.21~22) | 해가 가장 길다 | 밤꽃 | 메주콩,조,수수 | | 봄배추,마늘,밀,보리,감자 | 소서 (7.7~8) | 퇴약볕 더위가 시작된다 | 무궁화 | | 대파,부추1차 | | 대서(7.23~24) | 몹씨 한증막 더위 | 배롱나무 2차 핌 | | | 옥수수 | 입추 (8.7~8) | 가을 기운이 일어난다 | 코스모스 | 가을배추 | | 홍화 | 처서(8.23~24) | 더위가 수그러든다 | 칡꽃 | 무 2차,양파 | | | 백로 (9.7~8) | 하얀이슬이 내린다 | 싸리꽃, 배롱나무 3차핌 | 쪽파,시금치3차 | 가을배추 | 목화 | 추분(9.23~24) | 밤낮 길이가 같은 가을날 | 가을국화 | 상추,대파2차,부추2차 | | 조,수수 | 한로 (10.8~9) | 찬 이슬이 내린다 | 갈대,억새 | 마늘 | | 벼 | 상강(10.23~24) | 서리 내리는 날 | | 밀,보리 | 상추,양파 | 메주콩,생강,고구마 | 입동 (11.7~8) | 겨울기운이 시작된다 | | | 대파 | | 소설(11.23~24) | 눈이 오는 겨울 | | | | 가을배추 | 대설 (12.7~8) | 눈이 많이온다 | | | | | 동지(12.22~23) | 해가 가장 짧다 | | | | |
□ 텃밭 손질 요령 ○ 이랑 만들기 - 이랑 두둑의 너비는 120~130㎝, 높이는 20~30㎝, 이랑 사이는 30~40㎝ - 잎을 주로 먹는 상추나 쑥갓 등 엽채류는 4줄로 심고 열매를 먹는 토마토나 고추 등 과채류는 2줄심기
○ 김매기 - 싹이 나면 우선 주변의 풀을 뽑아줍니다. 김매기는 특별한 방법 없이 열심히 풀을 뽑아주는 수밖에 없습니다.
○ 솎아주기 - 촘촘하게 새싹이 나면 2번 정도 생장에 맞춰 솎아줍니다. 같은 공간에서 자라는 작물은 서로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복잡한 곳부터 솎아주면 됩니다. 솎아주면서 풀도 뽑아주는 게 좋습니다.
○ 덧거름 주기 - 웃거름이라고도 합니다. 주는 방법은 대게 포기와 포기사이, 이랑 사이에 뿌리가 뻗어있다고 생각되는 곳에 거름을 줍니다. 꽃이 필 때까지 두 차례, 모종을 옮겨 심은 후 10일정도 지나 뿌리가 토양에 활착하면 덧거름을 주도록 합니다. - 이랑을 만들기 전 퇴비와 석회, 복합비료를 골고루 뿌린 다음 갈아엎어 줍니다. 웃거름으로 식물이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질소, 인산, 카리는 각각 요소와 용과린, 염화칼륨비료를 주면 됩니다. ○ 북주기 - 뿌리 부분을 흙으로 높게 덮어주는 경우입니다. - 모종을 파종한 후 이랑의 김매기를 하면서 북 주기를 해주면 됩니다. 뿌리토양의 수분 증발을 줄여주는 효과와 작물 포기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는 한 방법 - 북 주기를 할 때에는 이랑사이 통로 흙을 포기 밑으로 모아주는 모양으로 덮어주면 됩니다.
○ 곁순 치기 -토마토는 통풍이 잘 되도록 곁순을 빨리 쳐주는 것이 좋습니다. -토마토는 옮겨 심은 후 2주일 간격으로 곁순을 제거합니다. 감자는 꽃이 피면 그 꽃을 제거해주면 더욱 튼튼하고 실한 감자가 됩니다. 작물이 꽃이 피우면 광합성으로 인해 작물 체내에 축적된 영양분이 작물의 양적 생장으로 돌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텃밭 채소의 선택 ○ 직파채소와 육묘채소의 구분 ∘직파재배하는 것 - 무, 순무, 당근, 우엉, 옥수수, 근대, 아욱, 콩, 완두, 쑥갓, 시금치, 마늘, 쪽파, 토란 ∘직파와 육묘를 같이 하는 것 - 무, 순무, 당근, 우엉, 옥수수, 근대, 아욱, 콩 ∘반드시 육묘가 필요한 것 - 토마토, 가지, 고추, 참외, 딸기, 고구마, 미나리
○ 좋은 모종 고르는 포인트 ∘줄기가 곧고 웃자라지 않은 묘 ∘노화되지 않고 병해충 피해가 없는 묘 ∘뿌리가 잘 발달하여 잔뿌리가 많고 밀생되어 있는 묘 ∘과일채소의 경우 꽃이 1~2개 피어있고, 꽃이 크며 꽃눈이 많은 묘 □ 작물별 재배방법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마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구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금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봄감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토마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당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근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호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쑥갓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갓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옥수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잎들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배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쪽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텃밭 채소의 병해 진단과 방제 채소에 발생하는 병해는 수백 여종이 있으나 이들 중 중요한 병해를 보면 잿빛곰팡이병, 노균병, 흰가루병, 탄저병, 덩굴마름병, 잎무늬병류, 균핵병, 역병, 시들음병, 잘록병, 무사마귀병, 검은썩음병, 무름병, 풋마름병, 세균성점무늬병, 모자이크병, 괴저바이러스병등인데 이들은 기생하고 있는 채소의 종류가 다를지라도 그 유형별로 병원균, 전염방법이 비슷하므로 병의 식별이 가능하고 방제법도 유사하다. 따라서 이들 병해의 종류별로 발생생태를 확실히 알아두면 이러한 지식을 기반으로 최소한의 경비를 들여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농약살포에 의한 환경의 오염이나 노력과 경비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채소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크게 나누어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의 3종류가 있고 병징은 종류별로 매우 뚜렷한 특징이 있다.
□ 수확&저장 채소를 적기에 수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적기에 수확한 채소는 그 채소의 고유 품질 특성을 그대로 갖고 있어 신선하며 영양가치도 매우 높은 상태로 식탁에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채소의 수확기 판단은 채소에 따라 다르다. 잎을 먹는 채소의 경우는 일정한 키가 크면 수확한다. 그렇지만 과일을 먹는 채소들은 과일의 색깔이라든지. 단단한 정도 또는 당도, 크기, 모양 등을 잘 보고 수확해야 한다. 채소는 생육 적온이 다르듯이 각기 다른 저장조건을 갖고 있다. 따라서 채소 종류별로 적당한 저장 조건을 맞추어 저장하는 것이 저장기간을 늘릴 수 있고 신선도가 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