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누만들기

[오일] 기름/오일에 대해서.|오일/첨가제의 종류

노량진김삿갓 2015. 10. 30. 13:27

비누는 물, 기름(오일, 지방) 그리고 가성소다만 있으면 만들 수 있습니다.

너무 간단하죠?

물은 어느 집이나 있고  

기름도 올리브유 옥수수 또는 캐놀라 오일 등 식용유가 있을겁니다. 

그러나 비누 만드는데 반드시는 아니지만 코코넛유와 팜오일이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가성소다는 반드시 구입을 해야만 합니다. 


그러면 기름/오일에 대해 공부를 해봅니다.


지질(脂質, lipids)은 단백질, 탄수화물과 함께 식품의 가장 중요한 성분 중의 하나이며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지질은 물에 녹지 않으며, 에테르나 아세톤, 클로로포름 등이 비극성 용매에 잘 녹는 물질로 생체 내에서 이용 가능한 물질을 말한다. 
지질이란 기름, 지방, 왁스(wax) 등을 모두 포함하여 부르는 말이다.

 기름(油, oil)은 고급지방산과 그리세롤의 에스텔이며, 상온에서 액체인 것을 말한다. 보통 기름이라고 하면 식물성 기름을 칭하는 경우가 많다. 식물성 기름도 온도가 낮아지면 고체로 변하는 것이 많다. 식물성 기름은 대체로 2중결합을 갖는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한다.

 지방(脂肪, fat)은 고급지방산과 그리세롤의 에스텔이며, 상온에서 고체인 것은 지방이라고 한다. 그러나 식물성 기름 중에도 팜유, 코코넛유나 마가린 것은 상온에서 고체로 존재하며 이를 식물성 지방이라고 한다. 지방은 돼지기름이나 소기름처럼 실온에서 고체인 것이 대부분이므로 지방이라고 하면 동물성 기름(지방)을 일컫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기름과 지방을 합쳐서 유지(油脂)라고 부른다. 
즉 유(油, oil)는 액체, 지(脂, fat)는 고체를 말한다.


좀 딱짝한 설명이었죠?



그럼 지방산(Fatty acid)는 무엇인가?



기름이나 지방은 모두 수 많은 지방산과 글리세롤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방(기름)은 효소나 염기에 의해 분해되면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다시 분해된다. 우리가 지방(기름)을 섭취하면 소화기관에서 분비되는 효소에 의하여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분해되고 이는 우리 몸에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몸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다시 지방으로 축적된다.

지방(기름)의 분해과정-지방산의 생성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결합된 상태를 Triglyride라고 한다. 지방은 일단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거쳐 최종적으로 지방산으로 분해된다. 

 인체 내에서 지방이 지방산으로 분해되는 것은 소화라고 말하고, 지방산이 지방으로 변하는 것은 합성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비만을 방지하는 것은 지방의 합성(축적)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음식을 적게 먹던지, 먹은 음식물(에너지원)을 가능하면 많이 소모 시키는 일이다. 에너지원을 소모시키기 위해서는 열심히 운동을 하거나 일을 하여 소모시키는 방법이 제일이다.

 비누를 만들 때는 위의 그림에서 물(H-OH, H₂O) 대신 양잿물(NaOH)가 들어가서 지방산-염(비누)와 글리세린이 만들어집니다.

이를 비누화반응이라고합니다. 

비누화 반응에는 반드시 물이 필요하며, 물을 첨가하지 않으면 비누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물도 비누를 만드는데 중요한 원료의 하나이다.

양잿물이란 물과 가성소다가 합쳐진 용액, 또는 가성소다(NaOH)를 칭합니다.

*****[오일]이번엔 지방산에 대해 *****

학교 다닐 때 아마도 필수지방산에 대해 공부했을겁니다. 지금은 다 반납했지만...

인체 내에서 합성이 안되고 꼭 먹어야만하는 지방산을 말하죠.

그런데 기름(오일)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의 구성에 따라서 만들어진 비누의 성질이 달라집니다.

어떤 비누는 딱딱하고, 어떤 비누는 거품이 잘 나고, 어떤 비누에 피부에 보습작용이 좋고,
어떤 비누는 거품이 크게일기도하고 곱게 일기도하고...등등 이 모든게 기름에 포함된 지방산의 구성비에 따라 잘라집지다.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 이런게 있구나 하는 정도로 알아두세요.


지방산의 함량에 따른 비누의 특성
(분자량과 포화도에 따른 영향)
 

구분

지방산 명

단단한 정도

세척력

거품발생도

콘디쇼닝효과

거품의 안정성

포화
지방산

Lauric acid

 

 

Plamitic acid

 

 

 

Stearic acid

 

 

 

불포화
지방산

Ricinole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따라서 지방산의 함량을 알면 최종비누의 특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좋은 비누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방산의 함량을 보고 몇 가지의 기름은 섞어서 비누를 만드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분자량이 큰 지방산   : 거품발생도는 낮으나, 거품의 안정성(지속력은 크다)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 세척력은 떨어지고 비누의 경도(단단함)은 증가한다.

    포화도(IV)높을수록   : 비누는 단단해지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콘디쇼닝 효과는 떨어진다. 반면 보존성은 높아진다.

※저급지방산과 고급지방산 : 탄소수가 12(C12)개 이하를 저급지방산(低級脂肪酸), 탄소수가 14(C14)개 이상을 고급지방산(高級脂肪酸)이라 한다. 

여기에서 저급과 고급의 분류는 지방산의 분자량(탄소수)와 관계된 것이며, 품질을 의미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공부를 합시다.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 saturated fatty acid)

 
포화지방산은 CnH2n+1COOH이라는 일반식으로 표현되며, 탄소수가 4개로부터 30개까지 알려져 있다.

가장 간단한 낙산(butyric acid)의 분자식은 C3H7COOH이다.
(이걸 다 이해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러나 설명을 해야지....)
포화지방산은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녹는점이 높아진다.

천연유지 중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지방산은 스테아린산(stearic acid, C18)와 팔미틴산(palmitic acid, C16)이다

명칭

탄소수

분자량

주된 소재

Butylic acid

C4

88

버터

Caproic acid

C6

116

버터, 야자유

Caprylic acid

C8

 

Capric acid

C10

172

Lauric acid

C12

200

Myristic acid

C14

228

Palmitic acid

C16

256

일반 동물성유지

Stearic acid

C18

284

Arachidic acid

C20

 

땅콩기름, 라드유

Behenic acid

C22

 

땅콩기름, 콩기름

Lignoceric acid

C24

 

땅콩기름

Cerotic acid

C26

 

밀랍, 모유(毛油)

Montanic acid

C28

 

 

Melissic acid

C30

 

밀랍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 unsaturated fatty acid)
 
불포화지방산 중 중요한 것은 올레인산계열(oleic acid series, 2중결합 1개), 
리놀산계열(linoleic acid series, 2중결합 2개), 
리놀렌산계열(linolenic acid series, 2중결합 3개) 및 Polyethenoid계열로 나눈다.

계열

일반식

명칭

탄소수

분자량

주된 소재

Oleic acid계열

CnH2n-2O2

Caproleic acid

C10

 

버터

Lauroleic acid

C12

 

버터

Myristoleic acid

C14

 

어유, 고래기를

Palmitolenic acid

C16

 

어유, 고래기름

Oleic acid
(Omega 9)

C18

282

일반식물성유지

Vaccenic acid

C18

 

버터,우지, 돈지

Ricinoleic acid

C18

298

피마자유

Gadoleic acid

C20

 

어유, 고래기름

Erucic acid

C22

339

채종유

Nervonic acid

C24

 

어유

Linoleic acid계열

CnH2n-4O2

Linoeic acid
(Omega 6)

C18

280

일반식물성기름

Linolenic acid계열

CnH2n-6O2

Linolenic acid
(Omega 3) 

C18

 

일반식물성기름

Polyethenoid계열

CnH2n--8O2

Arachidonic acid

C20

 

간유

CnH2n-10O2

Clupanodonic acid

C22

 

어유, 고래기름

위의 표에서 청색으로 나타낸 지방산이 필수지방산입니다.
우리가 음식으로 섭취할 때는 이 필수지방산의 비율이 더 중요한 문제가 되며 통상 Omega3 계열의 지방산은 식품 중에 상당히 적은 량이 존재합니다.



그러면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많고 적음에 따라 달라지는 비누의 성질을 알아봅니다.


 

구분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비누의 단단함

단단하다

무르다

거품성

높다

낮다

피부에 효과

비율이 높으면 거칠다

일반적으로 보습효과가 좋다

비누의 보존성

오래 보존

변질이 빠르다

비누틀에서 분리성

쉽다

잘 빠지지 않는다.

용도

베이스 오일로 사용

더 넣기 용으로 사용

많이 포함된 기름

동물성유지, 코코넛유, 팜유

대부분의 식물성 기름

 위의 내용은 대학의 식품영양이나 식품화학에서 배우는 수준의 내용입니다.

***

그러니까 지방을 정확히 하자면 지방산이라 불러야 한다라고 이해하면 되는 겁니까?

그리고 땅콩 기름은 써본적이 있습니다.

클라리넷을 닦을때 땅콩 기름을 써야한다고 하더라구요. 탄소가 20-22 개 붙은 것인줄은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  
실은 지방(脂肪)은 영어로는 Fat라고 하는데 굳기름
첫번째 글을 한 번 더 읽으시면 차이가 명확

지방보다는 유지(油脂)가 맞겠지요.

우리가 먹거나 쓰는 대부분의 기름은 하나의 지잡산으로 구성된 게 아니라 몇 가지 지방산의 Polymer(다중결합)으로 구성된 복합체이지요.

이것이 인체에 흡수되어 소화효소(지방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면 각각의 지방산으로 분해되어 인체에 흡수하게 됩니다.
비누도 마찬가지로 가성소다(Lye, NaOH)에 의해 분해되어 지방산염, 즉 지방산-Na의 형태로 결합 된 것이 비누이고
나머지 부산물로 나오는 것이 글리세린입니다.

실은 이 글리세린이 시중에 파는 대부분의 비누는 이 글리세린이 빠져있습니다     

***

글리세린은 천연의 보습제로 피부를 촉촉하게 하지요.
글리세린에 질산을 첨가하여 니트로글리세린을 만들면 폭약이 됩니다. 노벨이 이것으로 다이나마이트를 만들고...
2차대전 때는 폭약을 만들기 위해 글리세린을 수요가 모자라서 결국 함성세재가 탄생하였고...

우리 대부분이 기름(Oil, 油), 유지(Oil &Fat, 油脂) , 지방((Fat, 脂肪), 지질(Lipid, 脂質) 이 개념이 혼동되기 때문에 정확한 설명을 위해 1번 글을 소개했습니다.

이것은 전문적으로 다루는 분야가 게 유지화학이죠.

 

***** [오일] 주요 오일(기름)의 지방산 구성-영문 *****

 

점점 어려워져가나???

위왕설명한 것 마져합니다. 그냥 지나치셔도 좋습니다. 나중에 다시 봐도 되고 안봐도 됩니다.

제가 참조하려고 올립니다.


자주 쓰이는 기름은 색갈로 표시했고 한글로 이름을 함께 적었습니다.


출처 : http://www.chempro.in/fattyacid.htm


적색 : 자주쓰이는 오일, 청색 : 가끔 쓰이는 오일, 분홍색 : 영양, 보습을 높이기 위한 첨가 오일

No.Name of the OilANALYSISFATTY ACID COMPOSITION (PERCENTAGE)
% of oil in seed or kernalSpecific GravitySaponification ValueIodine valueTITRE°C      MP-Melting point% USM  MaximumCaproic (Hexoic)
C10
Caprylic (Octoic)
C8
Capric (Decoic)
C10
Lauric (Dodecanoic)
C12
Myristic (Tetradecanoic)
C14
Palmitic (Hexadecanoic)
C16
Stearic (n-Octadecanoic)
C18
Oleic (C18:1)Linolenic (C18:3)Linoleic (C18:2)Arachidic C20  (Eicosanoic)Any special fatty acid
1Ambadi Oil30-40----189-19593-107----2.0------------------------------------------------
2Castor Seed Oi
피마자유
l
45-500.945-0.965/25°C177-187
OH-160
83-8630.8--------------------2.01.07.0----5.0----Ricinoleic 86-90 9,10Dihydroxy Stearic 0.7
3Cheru Seed Oil (Phulware Fat)Kernal-60-620.856-0.862/25°C191-20090-101----5--------------------55.0-60.03.5-4.030.0-40.0----4.0-5.0--------
4Chullu(Wild apricot) Seed Oil45-500.915-0.918/25°C186-188101-106----2----------------1.0-1.53.0-4.02.0-4.072.0-75.0----18.0-22.0--------
5Coconut Oil
코코넛유
63-650.917-0.919/25°C251-2637.5-10.520-240.50-0.85.0-9.06.0-10.044.0-52.013.0-19.08.0-11.01.0-3.05.0-8.0----0-1.00-0.5Palmitoleic tr -2.5
6Corn (Maize) Oil
옥수수유
Germ-480.915-0.920/25°C187-193103-12814-212.0----4.07.0----0.2-1.08.0-12.02.0-5.019.0-49.0----34.0-62.0--------
7Cotton Seed Oil
면실류
18-250.915-0.926/15°C191-196103-11532-382.0----------------0.4202.035----42--------
8Dhupa Seed Oil (Dhupa fat)20-220.912/25°C187-19236-43MP 30-402.5--------------------9.7-13.038.9-43.242.2-47.8----0.1-2.30.4-4.6----
9Groundnut Oil (Penut Oil)45-550.910-0.915/25°C188-19584-10026-321.0--------------------6.0-9.03.0-6.052.0-60.0----13.0-27.02.0-4.0Lignoceric 1-3 Behenic acid 1-3
10Hemp Seed Oil
대마씨유
30-350.923-0.925/25°C190-193140-17515-171.0--------------------5.0-7.01.0-3.011.0-13.024.0-26.054.0-56.0--------
11Jojoba(Hohoba) Seed Oil
호호바유
45-500.8635-0.8640/25°C92-16782-89MP11.2-11.840----------------------------0.55-0.77--------28.0-31.0Palmitolic -0.25 Behenic - 14.2
12Kamala Seed Oil30-350.9409/40°C195166----2.0--------------------7.4-8.70.6-0.713.3-19.6----11.7----Kamlolenic acid 72
13Kapok Oil22-250.920-0.933/15°C189-19786-11027-322.0--------------------10.5-10.84.9-8.646.1-56.6----27.7-34.6--------
14Karanja Seed Oil27-390.936-0.937/15°C180-190
Acetyl 14.5
81-9030-314.5--------------------3.7-7.92.4-8.944.5-71.3----10.8-18.32.2-4.7 Behenic 4.2-5.3
15Kokum Oil     (Kokum Butter)25-340.895/40°C187-19225-3839-432.0----------------0-1.22.5-5.352-56.439.4-41.5----1.7--------
16Kusum OilKernal-28-340.9099/30°C220-234   Acetyl 4.050-6046.53.0----------------1.05.0-8.02.0-6.040-67----2.5-5.220.31Lignoceric-1.5-3.5
17Linseed Oil (Flax Seed Oil)40-440.931-0.938/15°C189-196170-18019-212.0--------------------4.0-7.02.0-5.012.0-34.035.0-60.017.0-24.00.3-1.0----
18Mahua Seed Oil (Mohwa, Mahuda)35-420.856-0.870/15°C187-19458-70MP 23-31 38-403.0--------------------20.0-25.020.0-25.041-51----10.0-14.00-3.3----
19Maroti Oil41-450.940-0.960/25°C198-20492-103MP 22-231.5----------------Garlic 12.22.0-4.0----5.0-8.0------------Chaulmoogric 27
Hydnocapric 48.7
20Mustard Seed Oil (Rap Seed Oil)33-400.906-0.910/25°C169-17698-11011.5-151.5--------------------1.50.4226.814.2----Erucic 47.0 Behenic-2.0
21Nahor Seed Oil60-700.956/25°C193-20973-93----3.0----------------0-2.88.0-13.610.0-15.855.0-66.0----10.0-20.00-1.8----
22Neem OilKernal-40-500.915-0.922/30°C175-20065-8035-362.5----------------0.2-2.6013.6-16.214.4-24.049-62----2.3-15.8 0.8-3.4----
23Niger Seed Oil30-450.917-0.920/30°C189-193125-135----1.0--------------------4.0-16.00.3-10.013.0-40.045.0-66.07.0-18.0--------
24Oiticica Oil (Cicoil)50-600.977-0.988/20°C186-193--------0.5--------------------6.0-8.04.0-6.05.0-7.0------------Licanic  -78
Hydroxy acid-4
25Olive Oil
올리브유
45-700.909-0.919/25°C187-19679-9017-261.5----------------0.1-1.27.0-16.01.0-3.065.0-80.0----4.0-10.00.1-0.3----
26Palash(Palas Seed) Oil17-19----175-19065-8544-462.5--------------------20.0-30.07.0-9.020.0-30.0----15.0-18.02.0-3.0Behenic12.0 Lignoceric4.0 Gadoleic2.7
27Palm Kernal Oil
팜핵유
Kernal-44-650.886-0.873/99°C245-25514-22MP 24-260.8tr3.0-5.03.0-7.040.0-52.014.0-18.07.0-9.01.0-3.011.0-19.0----0.5-2.0tr----
28Palm Oil 팜유30-600921-0.925/15°C196-20548-5842-451.0----------------0.5-2.032.0-45.02.0-7.038.0-52.0----5.0-11.0--------
29Perilla Oil들깨유35-400.930-0.937/15°C188-197193-208----1.5--------------------6.0-8.01.0-3.012.0-14.062.0-65.013.0-15.0--------
30Pilu Oil        (Khakan Fat)38-420.867/25°C240-25012-20MP 411.0--------1-1.519.6-47.228.4-54.518.9-19.5----5.5-12.0----0-1.3--------
31Pisa Oil48-500.925/25°C255.5-2578.5-10.9MP 43-441.5------------96------------4----------------
32Poppyseed Oil36-500.898/60°C197.5133.4151.5--------------------10.02.011.05.072.0--------
33Ratanjyot Oil (Jatropha Seed Oil)30-400.918-0.923/15°C191-202
OH 4-20
82-98311.0----------------0.5-1.412.0-17.05.0-9.537-63----19-410.3----
34Rice Bran Oil
미강유,쌀겨유
15-230.916-0.921/25°C181-18890-10824-285.0----------------0.4-1.012.0-18.01.0-3.040.0-50.00.5-1.029.0-42.0----Palmitoleic 0.2-0.4
35Rubber Seed OilKernal-45-520.924-0.930/15°C190-195
OH 12-32
132-14828-331.0--------------------8.7-10.68.0-12.017-2021-2633-39--------
36Safflower Oil25-370.919-0.924/25°C188-194140-15015-181.5----------------tr.0.53.0-6.01.0-4.013.0-21.0tr.73.0-79.00.2----
37Sal Seed Oil (Sal Fat)14-200.868-0.870/30°C188-19235-39MP-35.2
51-53
1.0--------------------4.5-8.634.2-44.241.4-42.2----2.0-3.06.3-12.2----
38Sesame Oil(Til Oil)45-540.916-0.921/25°C188-195103-11621-241.5--------------------7.0-9.04.0-5.040.0-50.0----35.0-45.00.4-1.0----
39Sorghum Oil30-50----181-191108-122----3.0----------------0-1.06.0-10.03.0-6.03.0-47.00-1.040.0-55.0--------
40Soya Bean Oil
콜기름
15-200.916-0.922/25°C189-195128-14322-270.8----------------tr.0.57.0-11.02.0-6.022.0-34.05.0-11.043.0-56.0--------
41Sunflower Seed Oil25-350.915-0.919/25°C188-194125-14016-201.5--------------------3.0-6.01.0-3.014.0-35.0----44.0-75.00.6-4.0Behenic 0.8
42Tea Seed Oil58-60----193-19683-8921-22----------------------------------------7.0-14.0----Linooleic- 74 - 87
43Thumba(Tumba) Seed Oil19-220.924-0.927/28°C172-174118-12222-243--------------------13.0-14.09.0-10.026.0-28.0----51.0-52.0--------
44Tobacco Seed Oil30-430.923-0.925/15°C186-197125-15416-18------------------------9.66.321.7----55.6--------
45Tung Oil16-180.930/15°C189-195160-17536-370.8--------------------4.01.08.03.04.0----Eleostearic 80.0
46Undi Oil (Punna Oil)Kernal-50-600.942-0.945/15°C191-20282-98331.0--------------------14.8-18.56.1-19.236.2-53.1----15.8-28.5----Erucic 3.3
47

Wheat Germ Oil 윗점오일,밀배아유

8-140.925-0.933/25°C179-190115-129----6.0--------------------11.0-16.01.0-6.08.0-30.04.0-10.044.0-65.0----Tocopherol-
0.3-0.5

 

***** [오일] 요것도 오일(기름)의 지방산 구성표-영문2 *****

 

꽤 유용한 자료라 올립니다. 관심없는 분은 Pass


출처 : http://www.curezone.org/foods/fatspercent.asp


적색 : 자주쓰이는 오일청색 : 가끔 쓰이는 오일분홍색 : 영양, 보습을 높이기 위한 첨가 오일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eed oils (%)

fatty acid percentage in oil
SeedsPolyunsaturated-다중불포화Monounsaturated
-단일불포화
Saturated-포화지방산
NameFat Content in seed

(%)

LNA-오에가3

18:3w3

(%)

LA-오메가6

18:2w6

(%)

LNA+LA

w3+w6

(%)

18:1w9
올레익산

(%)

18:0
스테아릭산

(%)

16:0
필미틱산

(%)

Total

(%)

hemp352060*8012268
chia30304070----
kukui30294069----
flax3558147219459
pumpkin46.70-1542-575734099
soybean17.775057266915
walnut60551562851116
wheat germ10.9550552518018
evening primrose17-81**8111268
safflower59.5-75751312-12
sunflower47.3-65652312-12
grape20-71711712-12
corn4-59592417-17
sesame49.1-45454213-13
rice bran10135364817-17
cottonseed40-50502125-25
rape(canola)307303754***7-7
peanut47.5-29294718-18
almond54.2-1717785-5
olive20-887516-16
avocado12-10107020-20
coconut35.3-33609191
palm kernel35.3-221308585
beech50-3232548-8
brazil66.9-24244824-24
pecan71.2-2020637-7
pistachio53.7-1919659-9
hickory68.7-1717689-9
filbert62.4-1616545-5
macadamia71.6-10107112-12
cashew41.7-667018-18
neem40120214120-20

*     Includes up to 2% GLA  -  Gamma Linolenic Acid

**   Includes 9% GLA

*** Includes up to 5%erucic acid

 

 

 

Linoleic Acid (LA)-오메가6

Deficiency Symptoms:

Alpha Linolenic Acid (LNA)=오메가3

Deficiency Symptoms:

 
  • eczema-like skin eruptions;
  • loss of hair;
  • liver degeneration;
  • behavioral disturbances;
  • kidney degenerations;
  • excessive water loss through the skin accompanied by thirst;
  • drying up of glands;
  • susceptibility to infections;
  • failure of wound healing;
  • sterility in males;
  • miscarriage in females;
  • arthritis-like conditions;
  • heart and circulatory problems ; and
  • growth retardation;

Prolonged absence of  LA  from diet is fatal. All of the deficiency symptoms (except death) can be reversed by adding LA back to the diet from which it was missing.

LA is found in safflower, sunflower, hemp, soybean,walnut, pumpkin, sesame, and flax.

Safflower and sunflower are the richest source of LA.

 
  • growth retardation;
  • weakness;
  • impairment of vision and learning ability;
  • motor incoordination;
  • tingling sensations in arms and legs;
  • behavioral changes;

These symptoms can be reversed by adding LNA back to the diet from which it was missing. Other symptoms that can result from LNA (or w3) deficiency include :

  • high triglycerides;
  • high blood pressure;
  • sticky platelets;
  • tissue inflammation;
  • edema;
  • dry skin;
  • mental deterioration;
  • low metabolic rate;
  • some kinds of immune dysfunction;

These are not considered 'classic' symptoms of w3 deficiency, but often respond remarkably well to w3supplementation.

LNA is five times more unstable than LA and modern people consume 10 times less LNA  then LA. 

LNA is found in  flax, hemp seed, canola(rape seed), soybean, walnut and dark-green leaves. Flax seed is the richest source, containing over 50% of its fatty acids as LNA. Chia and kukui (candlenut) oils contains about 30% LNA. Hemp seed oil contains about 20% LNA. Pumpkin seed oil contains between 1% and 15% LNA. Canola oil contains up to 10% LNA and Walnut oil contains between 3% and 11% L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