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번뇌와 망상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노량진김삿갓 2014. 10. 20. 08:28

 

모조리 다 내 탓입니다.                    

//<![CDATA[ document.write(removeRestrictTag());   

 

 

 

 

 

 

모조리 다 내 탓입니다

 

                                                        선묵혜자 스님

 

 

불교에서

복 중의 복을 인연 복 이라고 합니다

태어나는 것도 죽는 것도

다 인연에 따른 것입니다.

삶은 알고 보면

인연놀음 입니다.

 

 

가끔 좋은 인연이라도 인연을 맺는 것 자체가

수행에 방해가 되지 않냐고 하십니다.

 

 

설사 인연 맺기가 싫어

토굴을 파고 산다 해도

토굴에는 벌레라도 있을 것이니

뭔가 인연이 있을 것입니다.

 

 

좋은 인연이나 나쁜 인연이나

다 내가 지은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의 내 모습은

다 내 탓입니다.

 

 

 

 

 

 

 


 

 


 

 

 

    

                                                    

번뇌와 망상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어느날 혜가선사에게 제자가 말했다.

"저에게 번뇌를 끊는 법을 가르쳐 주십시요."

선사께서 되묻기를 번뇌가 어디에 있기에 끊으려고 하느냐?

"제자는 뒤통수를 맞은 기분으로 대답했다.어디에 있는지 모르겠는데요."

선사가 말하기를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면 허공과 같은걸 어떻게 끊는단 말이냐?

"제자는 그래도 경전에 이르기를 모든 악을 끊고 선을 행하여야 부처가 된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선사왈 악이니 선이니 하는게 다 망상이지 제 마음에서 생기는 거야.

"제자는 은근히 반감이 치밀어 그게 왜 망상입니까? 스님께선 부처님 말씀을 부정한신건가요?"

 

선사는 제자의 마음을 읽어보고 친절히 일러주었다.

"비유를 하나 들어보자." 

너희 집 뜨락에 바위가 있는데 네가 그위에 누워 잘 때나 앉아 있을때에는 전혀 놀라거나 두려워 하지 않겠지?

그러다가 그 바위로 불상을 만들거나 사람을 시켜 거기에 부처님을  그린다면  어떻게 될까?

그 뒤로는 네 마음이 그것을 부처님으로 알고 감히 그 위에 걸터 앉을 생각을 못하겠지?

그게 본시 돌일 뿐인데. 다 네 마음이 그렇게 만든것 아닌가.

만일 거기에다 귀신이나 용, 호랑이 따위를 그려 놓았다면 스스로 그려놓고도 무서워 하겠지?

채색 자체는 무서울게 없는데 그 그림이 무서운 것은 다 너의 생각 때문이야.

어찌 무엇 하난들 실체가 있겠느냐. 모두 너의 망상이 만든것 아닌가.

 

번뇌란 눈 앞의 괴로운  일과 즐거운 일에 대하여 탐욕이나 증오심을 내거나 어리석은 망상을 일으켜 몸과 마음을 어지럽히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번뇌를 질병이나 장애, 악마 따위에 비유한다.

특히 헛된 망상은  번뇌의 주된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번뇌와 망상을  한데 묶어 "번뇌망상"이라는 말을 자주 쓴다.

불교의 수행은 이 번뇌 망상을 끊는것을  주요한 목표로 삼는다.

그래서 불교도의 4대 맹세이자 기원인 "4홍서원"에 번뇌가 끝없어도 기어이 다 끊어오리다.라는 서원이 들어있고,  또 108개의 나무열매를 꿰어 돌리는 염주도 108가지에 이른다는  이 번뇌를  끊고자 만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대승불교나 선종에서는, 깨달은 눈으로 보면 번뇌라는 것도 본래 뿌리가 없는  것이므로 굳이 끊고 말것도 없다고 한다.

심지어 어두운 현실 바깥에 따로 깨달음(보리)이 있을수 없으므로 " 번뇌가 곧 보리"라고 한다.

현대인들에게 특히 신경성 질환이 많은데 대부분 복잡하고 시끄러운 환경 속에서 마음이 불안하고 초조하고 긴장한 나머지 생기는 병이라고 한다.

따라서 약으로도 치료하기가 몹시 어렵고, 오직 마음의 긴장을 해소함으로써 낫는다고 한다.

이러한 실체 생활 속의 예를 보더라도 번뇌의 실체가 본래 없음을 알수 있다.

자기야 말로 자신의 주인이므로 자신을 잘 다루면 모든 번뇌와 망상은 스스로 사라질 것이다.

 

* 마음은 흔들리기 쉬워 지키지 어렵고 다스리기 어러렵다.

  지혜로운 사람은  활 만드는 장인이 화살을 곧게 만들듯

  스스로 마음을 바로 잡는다 .            법구경.